(서울=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서울시의 일방적 공항버스 요금 인하 요구에 공항버스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이익이 감소세로 전환한 가운데 인천공항 제2터미널 준공으로 운행거리 증가에 따른 고정비가 늘어난 상황에서 요금까지 떨어뜨리라는 건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서울시는 현재 공항버스 요금을 약 10% 떨어뜨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9일 여행운송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달 초 공항리무진, 한국도심공항, 서울공항리무진, KAL리무진 등 서울지역 공항버스 4개사 요금을 1천~1천500원 내리라고 공문을 보냈다.

현행 요금은 카드 결제 기준으로 1만4천원 수준이다. 서울시가 기존 요금을 10% 수준에서 내리라고 요구한 셈이다.

서울시는 요금 인하의 근거로 지난해 12월 신한회계법인이 작성한 보고서인 '공항버스 운송원가분석'을 제시했다.

그러나 최종 결론만 주요 공항버스사업자에 공유했을 뿐 가격도출을 위한 구체적인 모델링에 대해서는 함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서울시는 이런 보고서를 근거로 시내버스 수준으로 원가를 절감하고 임원의 인건비를 줄이면 요금 인하의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업체는 일반 직원의 인건비 등의 부문에서 원가절감의 여력이 없는 데다 관리직 임원의 보수를 깎더라도 고정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만큼 요금 인하 여력이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

더구나 노동관계법 개정에 따른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한 추가 고용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 공항버스사업자의 어려움은 한층 가중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실적 추이를 보면 공항버스 업계의 내림세는 뚜렷하다.

업계 1위인 공항리무진은 지난 2017년 영업이익은 117억원이었지만 2018년 29억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지역 사업자인 서울공항리무진은 77억원에서 18억원으로 1/4 수준으로 줄었다.

이런 가운데 요금 인하까지 이뤄질 경우 주요 사업자가 모두 적자로 전환될 것이란 게 공항버스업계의 주장이다. 실제로 공항버스 4개사는 10% 이상 요금이 떨어지면 10억~25억원가량 적자를 본다고 추산했다.

근본적으로 서울시가 이들 사업자에게 부여한 '한정면허'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한정면허는 여객의 특수성, 수요의 불규칙성, 수익성 등을 고려해 사업자에게 최대한 자율권을 부여한 면허다. 요금도 신고제다.

공항버스사업자에 요금 인하를 사실상 강요할 수 있는 것은 올해 말 면허갱신 심사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협상이 전형적인 '갑과 을'의 대치라 보는 것도 이러한 시각 때문이다.

서울시의 주장대로 요금을 인하하면 공항버스업계의 인력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비용 절감을 위한 서비스질 저하도 우려된다.

공항버스 업계 관계자는 "해외여행이 매월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일상적인 것이 아니라면 1인당 1천500원 혜택은 크다고 보기 어렵다"며 "공항버스업계의 '쥐어짜기'식 경영을 유도해 고용과 안전을 악화하자는 주장이 바람직한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j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