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기획재정부의 경기 상황 악화 진단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추진하기 위한 논리 만들기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다만,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기재부의 경기 진단에는 대체로 동의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기재부는 12일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반도체업황 부진 등 대외여건 악화로 한국 경제의 하방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등은 대외 불확실성 요소다.

기재부는 지난 3월 그린북에서 언급한 '연초 산업활동 및 경제심리 지표 개선 등 긍정적 모멘텀이 있으나'라는 문구를 삭제하기도 했다.

A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추경을 하려면 논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재부가 태세를 전환한 것이 아닌가 싶다"며 "다만 국내 경기가 어렵다고 얘기하면 정부의 정책 실패를 시인하는 셈이라서 대외 리스크를 강조한 것 같다"고 말했다.

기재부의 부정적 경기 진단에 채권시장은 대체로 동의하는 편이다.

B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국제통화기금(IMF) 권고 이후 추경도 추진하는데, 돈을 풀어 얼마나 영향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재부가 그린북에서 '긍정적 모멘텀' 문구를 삭제했다"며 "낙관적이어야 할 기재부의 경기 전망도 악화했다는 의미니 좋지 않은 신호"라고 설명했다.

C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경기가 좋지 않다는 인식의 반복"이라며 "다만 이번에 그 인식이 다소 강화된 느낌"이라고 말했다.

다만 A 딜러는 "채권시장을 제외한 나머지 시장에서는 하반기 경기 개선을 조금 더 보고 있다"면서도 "눈에 보이는 경기 지표들이 부진한 것은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그린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채권시장에서 3년과 10년 국채선물은 기재부의 그린북 발표 이후에도 거의 레벨의 변화가 없었다.

C 딜러는 "롱 요소이지만 시장이 내달릴 재료는 아니다"라며 "외국인의 선물 매도가 더 확실한 충격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B 딜러는 "시장은 조용하다"며 "이날 약세인 것도 허먼 케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지명이 어려워졌다는 소식 때문"이라고 말했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