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신은실 기자 = 금융당국이 모험자본 공급을 강화하기 위해 중소기업 특화 금융투자회사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지만, 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중기특화 증권사에 부여하는 일부 자금 조달 등 인센티브의 실효성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유안타증권과 유진투자증권, 코리아에셋투자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 SK증권 등 6개사를 2기 중기특화 증권사로 지정했다.

1기 중기특화증권사 지정 기간이 만료된 이후 2기 활동이 시작됐지만 증권업계의 관심은 초대형 투자은행(IB)에 쏠려 있었다.

이에 중기특화증권사가 시장에서 소외돼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당국은 중소기업 특화 금융투자회사가 운영하는 별도 정책 펀드를 설정하고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 주관사 선정 시 자기자본 요건을 면제해 주는 등 중기특화 증권사에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그러나 중기특화증권사라는 이름이 무색해질 때가 많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평가다.

실제로 중소기업의 인수·합병(M&A)이나 기업공개(IPO)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초대형 IB와 직접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중소기업 입장에서 중기 특화증권사와 거래를 하더라도 차별화된 서비스가 없어 굳이 중기 특화증권사를 선호할 이유가 없다는 설명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중소기업들이 중기특화증권사를 통해 M&A나 IPO를 하기 위해서는 초대형 IB와는 차별된 서비스나 혜택이 있어야 하는데 중기특화증권사라고 해서 다를 게 없다"며 "제도 추진 목적은 이해하지만 실질적으로 활동을 독려할 만한 지원책이 제시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 다른 관계자는 "당국이 중소기업들의 자금 지원을 돕기 위해 중기특화증권사를 지정하고 이러한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분명 긍정적이며 일부 증권사들은 작은 혜택들을 누리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실질적으로 중기특화증권사가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나타낼 수 있을지에 대한 당국의 고민이 더 필요해 보인다"며 "중기특화증권사 제도를 이대로 둔다면 3기나 4기의 활발한 활동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중기특화 증권사 2기의 활동 기한은 1년이 남았다.

금융당국은 1년 뒤 중기특화 증권사들의 역량을 재평가해 3기를 출범할 예정이다.

당국은 중기특화 증권사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유도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센티브 도입 등 제도 개선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esshi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