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정부가 반도체 패러다임을 바꿀 신개념 소자 개발 지원에 나선다.

시스템 반도체 고급 설계 인력을 양성하고자 5개 대학에 융합 전공을 신설하고, 시설·장비 고도화와 운영비 지원을 통해 공공 나노팹(나노기술 관련 제조공장)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지원도 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발표한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 후속 조치로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중장기 경쟁력 확보를 위한 미래 원천기술 개발과 융합 전문인력 양성을 본격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정부는 먼저 지난달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향후 10년간 약 2천400억원을 투자해 반도체 신소자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정부는 반도체 신소자 원천기술 개발로 반도체 기술개발의 패러다임으로 이어져 온 미세화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또 만성적인 시스템 반도체 최고급 설계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개 내외 대학 컨소시엄을 선정해 컨소시엄 당 향후 6년간 약 100억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소자와 공정 등 제조 전반과 바이오, 미래 자동차, 로봇 등 시스템 반도체 응용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춘 석·박사급 시스템 반도체 융합형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공공 나노팹을 활용한 팹리스 기업 지원도 시행한다.

정부는 대전과 수원, 포항 등 반도체 제작 지원이 가능한 공공 나노팹을 중심으로 중소 팹리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멀티 프로젝트 웨이퍼(MPW) 서비스 지원을 위한 반도체 설계 지원 툴(PDK)을 갖추는 등 파운드리 서비스 지원을 고도화하고, 중소벤처기업부의 연구 장비 활용 지원 사업 등과 연계해 중소·창업 팹리스의 공공 나노팹 활용 부담을 대폭 경감한다.

정부는 아울러 최근 반도체 분야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와 연계해 연구 거점을 조성한다.

대기업의 반도체 연구·양산시설 공동 활용하고 기업 난제 해결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하며, 연구계와 산업계의 역량을 결집한 대규모 집단연구를 통해 선도연구 집단도 육성할 계획이다.

정부 출연연구원의 반도체 연구 플랫폼 역할 강화를 위해서는 한국과학기술원(KIST)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으로 협의체를 구성한다.

협의체는 원천기술과 응용기술의 연계, 연구기관 보유 인프라를 통한 우수 기술 조기 상용화, 팹리스 창업 지원 등 반도체 연구 생태계 혁신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