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초대형 투자은행(IB) 조건을 갖춘 증권사들이 줄줄이 발행어음 사업에 나서면서 채권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증권사의 발행어음 자금으로 조달 수단을 대체할 수 있게 된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을 줄이면서 크레디트 시장에 강세 압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17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증권사 가운데 발행어음 사업 인가를 받은 곳은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이다.

신한금융투자도 최근 신한금융지주로부터 6천600억 원의 출자를 받기로 해 자기자본 규모에서 초대형 IB 요건을 갖췄다. 이후 발행어음 사업 진출을 추진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발행어음 사업 확대로 기업들이 크레디트 시장에서 회사채를 발행할 유인이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존 발행어음 사업을 한 증권사들은 기업의 사모사채로 (투자 물량을) 채우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기업들이 사모채를 발행하면 공모채로 나올 채권이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도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을 하지 않고 자금 수요를 발행어음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행 제도상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초대형 IB의 발행어음 한도는 자기자본의 2배다. 또 발행어음을 통해 조달한 수탁금의 50% 이상은 기업 금융에 활용해야 한다.

증권사들이 발행어음 운용 초기부터 한도까지 채우지 않더라도 상당량의 자금이 기업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반대전망도 나온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운용 본부장은 "직접 채권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업이라면 굳이 증권사로부터 (발행어음 자금)대출을 받을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증권사로부터 대출을 받는 기업은 신용도가 낮아 직접 조달이 어려운 기업일 것이기 때문에 크레디트물 공급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발행어음 사업이 기존 크레디트 시장을 잠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조달 시장을 만들어낼 것이라는 주장이다.

발행어음 사업이 확장해도 국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증권사는 수탁금 가운데 기업금융에 써야 하는 50%를 제외하고 30%는 부동산 관련 자산으로 운용할 수 있다.

20%의 자금이 남지만 증권사가 부담하는 발행어음 금리를 고려하면 국채 투자 유인은 작다는 평가다.

증권사의 관계자는 "20%의 자금도 채권 운용부서가 아니라 자금부 담당"이라며 "다른 용도로 쓸 수도 있고, 투자 목적으로 채권을 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