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미국 정부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거래제한 기업 명단에 올리면서 부품 공급업체들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미국 상무부는 미국 기업과 거래하려면 당국 허가를 받아야 하는 기업 리스트에 화웨이와 계열사를 올릴 것이라고 15일 발표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미국 기업의 화웨이 제품 조달을 사실상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의 제제 조치로 화웨이와 주요 거래처의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화웨이가 작년 말 발표한 주요 거래처 목록에는 전 세계 92개사가 포함돼 있다. 퀄컴과 인텔, 브로드컴 등 반도체 대기업 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소프트웨어 대기업이 목록에 올라와 있다.

특히 영향이 큰 부분은 반도체다.

화웨이는 반도체 설계회사인 하이실리콘을 보유하고 있어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반도체의 약 50%를 자체조달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통신분야에서 많은 특허를 가진 퀄컴 반도체 등을 대체하긴 어렵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이나 대만 등 미국 이외의 제조업체에도 영향이 파급될 우려가 있다.

16일 아시아 증시에서 스마트폰용 콘덴서를 공급하는 무라타제작소 주가가 5% 넘게 급락했고, 스마트폰을 위탁 생산하는 대만 훙하이정밀은 2% 밀렸다.

이어 화웨이 관계자는 "스마트폰보다 통신사용 장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신문은 화웨이는 5G용 기지국 등 통신기기를 전 세계적으로 공급하고 있어 각국 5G 서비스 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니혼게이자이는 화웨이가 미국의 압박 고조로 작년부터 부품 재고를 늘렸기 때문에 당장 스마트폰이나 통신기기 생산이 어려워질 일은 없어 보인다고 판단했다.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공급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화웨이가 대체 불가한 미국산 반도체를 6~12개월치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문은 미국 제재의 영향이 얼마나 커질지 불확실해 화웨이가 대책을 재검증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jhm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