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국고채 잔존만기가 지난해 말 10년을 초과하면서 적정 만기에 대한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2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획재정부는 금융연구원과 자본시장연구원, 일부 채권평가사와 일부 증권사 및 은행을 대상으로 국고채 적정 만기구조 관련 비공개 세미나를 열었다.

국고채 잔존만기는 금융위기 직후 5년에서 지난해 말 10년을 돌파하는 등 빠른 속도로 늘었다.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국고채 잔존만기가 길다.

보험사 등 장기투자기관의 초장기물 수요에 맞춰 국고채 30년물과 50년물 발행을 늘리는 등 초장기물 발행이 많이 늘어난 게 국고채 잔존만기가 급증한 이유다.

이날 열린 세미나에서 금융기관은 보험사 수요가 이어지는 만큼 초장기물 발행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면서도, 발행 규모가 더 커지는 것에는 우려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석자들은 한국 국고채의 잔존만기가 전 세계에서 가장 긴 축에 속하지만, 당장 변화를 주기는 어렵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 17) 도입과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2022년 이후 보험사의 초장기물 매매 패턴이 달라질 가능성도 거론됐다.

잔존만기 확대를 선제적으로 막기 위해 초장기물 발행을 줄일 경우, 보험사가 채권 매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데다 초장기물 수익률 곡선도 다시 역전될 수 있어서다.

일부 참석자들은 국고채 20년물을 없애고 대신 초장기물 발행을 늘리자고 건의했다. 20년물 발행량이 적은 데다 다른 기물에 비교해 수요도 적기 때문이다.

한 참석자는 "한국이 고령화를 단시간에 겪고 있어서 다른 선진국과는 달리 보험이나 연금 자산이 늘어나고 있다"며 "미국은 자본시장이 회사채 중심이기 때문에 MBS 발행 등이 많아 단순히 국고채 잔존만기를 비교하는 건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세미나에서도 전체 채권시장 듀레이션을 놓고 보면 미국이 한국보다도 더 길기 때문에 전반적으로는 현재 국고채 잔존만기가 크게 문제 되지는 않는다는 내용이었다"고 덧붙였다.

다른 참석자는 "금융시장에서는 초장기물 발행 확대에는 난색을 보였다"며 "2022년 정도 되면 보험사 장기물 수요가 줄어들 것이 보이기 때문에 정부의 고민이 커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