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취업자 수 변동을 결정하는 여러 거시지표 중 실질경제성장률만이 전체 취업자 수 증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국회예산정책처는 21일 배포한 'NABO 경제동향&이슈' 5월호에 실린 '산업별/근무형태별 고용변동과 거시변수의 관계 분석'에서 이같이 제시했다.

예산정책처는 고용부진 요인에 대해 경기둔화, 최저임금 상승과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분석과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취업자 수 변동을 결정하는 주요 거시적 요인에 대한 체계적 실증분석은 미진한 상황이라며 분석 배경에 관해 설명했다.

이번 분석에는 실질 GDP, 산업별 실질 부가가치생산, 15~64세 생산가능인구, 실질 임금, 실질 이자율 등 5개 거시변수와 주요 산업별/근무형태별 취업자 수 변동의 관계를 연간 자료를 이용했다.

보고서는 "전산업 전체 취업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실질경제성장률만이 유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실질 GDP가 1%포인트(p) 성장하면 취업자 수는 0.41%p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제시했다.

또 임금근로자와 비임금 근로자를 나눴을 때는 15~64세 생산가능인구, 실질 임금 등도 영향을 미쳤다.

생산가능인구가 1%p 증가하면 임금근로자는 0.96%p 증가하는 것으로, 비임금근로자는 3.35%p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비임금근로자가 임금근로자보다 실물경기변동에 민감하며, 실질임금이 상승할 경우 비임금근로자의 상대적 소득(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을 하락시켜 비임금근로자의 고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