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리스크요인 중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21일 '2019년 상반기 시스템리스크 서베이 결과'에서 96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5개의 리스크 요인을 복수 지정하도록 한 결과, 응답 빈도순으로 미·중 무역분쟁이 67%,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66%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기업실적 부진과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이 44%를 차지했다. 가계부채 누증은 43%를 나타냈다.

응답자의 22%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1순위 리스크요인으로 꼽았다. 근소한 차이로 21%가 미·중 무역분쟁을 1순위 리스크요인으로 지목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는 11%, 가계부채 누증은 9%,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6%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했을 때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주요 리스크요인에서 제외됐다.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이 새로운 리스크요인으로 부각됐다.

응답 비중이 50% 이상인 리스크요인은 지난번 4개에서 2개로 줄어들었다. 특정 리스크요인의 집중 정도가 감소했다.

응답자들은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대체로 1년 이내의 단기 리스크요인으로 분류했다.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1~3년 이내의 중기 시계에 현재화할 수 있는 리스크라고 응답했다.

기업실적 부진과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응답자들은 진단했다.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큰 리스크로 지목했다.

응답자들은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해 11월 서베이 시점에 비교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충격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9%에서 4%로 크게 낮아졌다.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27%에서 52%로 높아졌다.

3년 이내의 중기 시계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응답도 지난 서베이 시점보다 낮아졌다.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34%로 지난번 40%에서 하락했다. '낮다'는 응답은 16%에서 24%로 높아졌다.

응답자들은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의 발생 가능성이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도 지난 서베이 시점보다 개선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는 응답 비율은 50%로 지난번 서베이 37%에서 상승했다.

이번 시스템리스크 서베이는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4일까지 79개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금융전문가 9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