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경제·금융 분야 전문가들이 국내외 경기침체와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가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글로벌금융학회와 한국금융연구원은 24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최근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정부 및 금융의 역할'이란 주제로 정책심포지엄을 열었다.

최훈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한국은 견고한 경제적 펀더멘털을 유지 중이지만 성장동력 약화 우려도 상존한다"며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부채 리스크, 노딜 브렉시트 가능성 등이 거시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글로벌 리스크 요인"이라며 "금융의 패러다임도 공급자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혁신금융, 신뢰 금융, 금융 안정 등을 주요 과제로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권인원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금융회사의 경영전략이 외형성장과 수익 극대화에서 지속가능성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 부원장은 "금융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혁신의 주체로서 금융혁신이 필요하다"며 핀테크 혁신 지원, 금융규제 샌드박스, 금융산업 경쟁 촉진 등을 대표적인 금융혁신 정책으로 꼽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금융회사들이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융회사들은 핀테크와 금융 플랫폼 활성화에 맞춰 4차 산업혁명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디지털 전환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빈기범 명지대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는 기계학습이나 인공지능(AI)으로 대변되는 인간 두뇌의 논리 체계"라며 "사람의 머리만 있으면 부가가치가 창출될 수 있는 시대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런 유형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방식은 금융업에서 더욱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며 "핀테크를 포함한 4차 산업혁명은 민간의 역량보다 정부의 노력이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경제혁신을 위해서는 정부와 정책금융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변현수 KDB미래전략연구소 연구원은 "민간금융은 소매금융, 안전자산 위주의 자금운용으로 생산적 역할에 취약하다"며 "장기 인내자본 공급자로서 정책금융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선진국에서도 다양한 영역과 신규 수요 충족을 위해 정책금융을 활용 중"이라며 "최근 혁신성장동력 발굴이 전 세계적으로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면서 정책금융 역할이 재강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