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 서울시가 적극적으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제로페이의 성장세가 예상을 크게 밑돌며 부진하다.

세제 혜택 외에는 카드 소비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적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제로페이의 주가맹점들은 카드 수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아직 소비자들의 이용률이 낮아 혜택을 체감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제로페이는 연 매출 8억원 이하의 소상공인은 0%, 8~12억원 이하는 0.3%, 12억원 초과는 0.5%의 결제수수료를 받는다.

소상공인의 부담을 크게 줄이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로페이는 아직 부진한 사용률을 보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전체 은행의 지난 1분기 제로페이 결제 건수는 6만1천790건, 결제금액은 13억6천58억원에 그쳤다. 서울시가 올해 목표로 한 금액 8조5천300억원을 크게 밑돈다.

제로페이가 이처럼 인기가 없는 이유는 먼저 결제를 위한 설치 절차가 복잡하다는 점이 꼽힌다.

제로페이는 별도의 앱이 없고 기존 간편결제 앱이나 은행 앱에서 제로페이 서비스를 가입한 후 사용해야 한다. 또한 결제할 때도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QR코드를 찍는 방식으로 다소 복잡하다.

국내 시장이 신용카드 중심의 간편결제 시장이라는 점에서 제로페이는 소비자들에게 불편하게 다가오고 있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급결제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신용카드 사용액이 664조원으로 민간최종소비지출 867조원 대비 76.6%에 달하는 신용카드 주도의 시장이다.

여기에다 신용카드사가 발행하는 체크카드 사용액 168조6천억원까지 포함할 경우 지급카드의 구매이용액 비중은 민간최종소비지출의 96.0%까지 확대된다.

이런 시장에서 소비자들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제로페이를 굳이 찾아서 쓸 가능성이 거의 없다.

제로페이의 소득공제 혜택도 소비자들을 끌어올 만큼 많지 않다. 제로페이 사용액 가운데 40%를 과세대상 소득에서 제외하는 소득공제 혜택이 있지만, 이는 체크카드와 비교해도 10%포인트 차이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사용자의 연소득에 따라 최대 300만원까지로 제한돼 있다.

이재연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합리적인 소비자는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에 따른 지급결제수단 선택 시 각 지급결제수단이 제공하는 혜택을 포함해 비교해서 가장 유리한 수단을 선택한다"며 "제로페이는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를 유인할 수 있는 효과가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카드업계에서도 제로페이가 소비자들의 헤택을 강화하지 않는 한 더 성장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신용카드 중심으로 다양한 혜택을 받는 국내 소비자들이 굳이 제로페이로 가지 않으려 한다"며 "부가서비스 외에도 결제할 수 있는 날짜를 45일까지 미룰 수 있는 신용카드의 혜택을 대체할 수단은 많지 않다"고 전했다.

msbyu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