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금리 인하해도 단기처방 불과"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미국과 중국을 둘러싼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서 원화의 변동성도 지속해서 확대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허찬국 충남대학교 교수는 11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한국금융연구원, 아시아금융학회가 공동주최한 정책세미나에 참석해 "G2 갈등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원화 변동성 확대가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 교수는 "한국은 G2로 부상한 중국과 연결된 글로벌 공급사슬, ICT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코리안 프리미엄을 취득했다"며 "G2 간 갈등에 따라 단기적으로나 중장기적으로 해외자금의 유출입과 외환시장 불안정성이 추세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국과의 갈등의 피해를 줄이고자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지만 이 역시 단기처방에 불과하다고 봤다.

실제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4일 연준의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통화정책 완화에 열려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허 교수는 "파월 의장의 금리 인하 가능성 언급으로 금융시장이 최근 반등했다"며 "하지만 지난달 미국의 신규 고용 증가 폭이 크게 줄며 경기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쌓여있는 4조 달러 규모의 보유자산 축소도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숙제"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국내 외환시장의 자금 유출입 동향도 미·중 무역분쟁의 불확실성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는 게 허 교수의 설명이다.

실제로 민간자금이 주도하는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은 2016년부터 상승곡선을 그리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그 추세가 꺾였다.

반면 공공자금이 주도하는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은 지난해부터 더 가파르게 증가하며 2014년 기록한 최고치를 돌파, 누적 유출입 규모가 700억 달러에 달했다.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은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에서 나타났다. 인도를 제외한 아시아 주요국에서 주식투자 자금 이탈이 지속했고, 채권투자 자금 역시 선진국은 유입되고 신흥국은 유출되는 현상이 이어졌다.

그는 "외국인의 주식과 채권 투자자금이 국내에 어떻게 유입됐는지만 봐도 심리를 알 수 있다"며 "위험회피를 반영하는 자금흐름이 지난해부터 국내외에서 본격화되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허 교수는 "환율과 투자자금 유출입은 양방향의 인과관계"라며 "통화가치가 유지되거나 절상되는 나라가 더 바람직한 투자처"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뚜렷한 성장세, 잘 개발된 금융시장, 안정된 정책 여건을 구비한 경우에만 예외가 될 수 있다"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이런 경향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외환시장의 변동성 증가로 정책적인 평활화(smoothing)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과 안정성이 높은 해외투자 자금의 유입을 늘리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3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