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일본 정부가 반도체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재의 한국 수출규제를 발표했지만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는 일단 당혹스러워하는 표정이다.

다만, 장기적으로 오히려 일본 기업들이 큰 손실을 볼 가능성도 있고 국제 통상 분쟁으로 번질 수도 있는 만큼 단기적인 영향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다.

일본이 수출규제를 강행할 경우 단기적인 타격은 불가피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IT 소재 국산화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일본 정부는 1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반도체 기판 제작 때 쓰이는 감광제인 리지스트, 반도체 세정에 사용하는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등 3개 품목의 한국 수출에 대한 규제 조치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이들 품목의 한국 수출절차를 간소화하는 우대조치를 취해왔으나 4일부터 한국을 우대대상에서 제외해 수출 계약별로 90일가량 걸리는 일본 정부 당국의 승인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출규제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리지스트는 전 세계 생산량의 90%, 에칭가스는 약 70%를 일본이 점유하고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는 그러나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의 수출을 전면적으로 금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리지스트, 에칭가스는 일본 기업들이 주요 생산자지만 고객은 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의 반도체 기업들이다.

일본 정부의 규제가 되려 자국 기업들에 피해를 줄 확률이 높은 것이다.

실제로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 조치를 발표하자 JSR과 혼슈화학공업, 도쿄오카공업, 쇼와덴코 등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곤두박질했다.

삼성전자가 이날 국내 유가증권시장 개장 초반 전 거래일보다 750원(1.60%) 하락한 4만6천250원까지 하락했다가 반등하고, SK하이닉스는 줄곧 상승세를 보이는 것과 대비된다.

일본 정부의 발표도 전면 수출 금지가 아니라, 일본 기업들이 반도체 소재를 한국에 수출할 경우 건별로 허가를 받으라는 내용이다.

한국 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해 국내법, 국제법적으로 강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힌 데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전 세계 IT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확률도 높아 일본 정부가 규제에 나서기도 쉽지 않은 상태다.

재고 과잉에 시달리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로 생산을 줄이면서 반도체 가격이 반등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D램과 낸드, OLED 부문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한국 기업들이 사실상 독과점적 공급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며 "일본의 수출규제는 부품 가격 급등으로 이어져 한국 기업들은 물론 미국과 일본의 글로벌 세트업체들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WTO(세계무역기구) 제소 등도 검토하고 있어 시장에서 우려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확률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도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 생산기업들이 소재 구매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생산이 줄면서 반도체 업황이 좋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는 다만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에 나설 경우 단기적인 악영향은 있을 것으로 봤다.

아직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업계는 순도 높은 소재를 생산하지 못하거나, 일본 기업들과 합작해서 생산하는 단계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도 일본에 반도체와 OLED 소재를 의존하는 데 따른 잠재적인 위험을 느껴왔다"며 "이번 규제를 계기로 국내 기업들이 IT 소재 국산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4시 1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