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일본 정부가 반도체와 스마트폰 제조에 필요한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 규제에 나선 것이 정치적 보복 차원이라는 분석과 함께 세계 1위의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를 겨냥한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차세대 반도체 분야에서 대규모 투자에 나선 삼성전자의 핵심 기술을 정조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3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차세대 노광장비(리소그래피) EUV(극자외선)용 레지스트에 대한 한국 수출을 규제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 반도체 업계는 ArF(불화아르곤) 레지스트와 KrF(불화크립톤) 레지스트를 대규모 양산에 활용하고 있다.

ArF 레지스트는 최신 노광장비 ArF 이머전에 사용하는 제품으로, 주로 디램과 로직 반도체 공정에 쓴다.

구형 노광장비에 주로 사용하는 KrF 레지스트는 미세 노광이 필요 없는 3D 낸드 공정에 주로 쓴다.

KrF 레지스트는 국내 업체가 주요 생산하고 있다.

일본이 이번에 수입을 규제하겠다고 발표한 레지스트는 이처럼 대규모 양산에 쓰는 ArF 레지스트와 KrF 레지스트가 아닌 차세대 노광장비 EUV용 레지스트다.

EUV 공정은 아직 양산에 대규모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차세대 반도체 핵심 기술로 꼽힌다.

반도체 미세공정을 가능케 하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오는 2030년까지 133조 원을 투자해 달성하기로 한 비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 목표에도 EUV 공정은 필수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4월 EUV 공정을 적용해 7nm(나노) 제품을 양산한 세계 최초로 양산했고, 올해 하반기부터 로직 7nm 공정과 DRAM 1znm(10나노미터 초반) 공정에 EUV를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차세대 노광장비 EUV용 레지스트에 대한 한국 수출을 규제할 경우 삼성전자의 이같은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생겼다.

이에 따라 전자업계에서는 일본 정부가 삼성전자를 정면으로 겨냥한 것 아니냐는 진단이 제기된다.

차세대 노광장비 EUV용 레지스트는 현재 국내 업체는 생산이 불가능한 첨단 소재로 전해졌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EUV용 레지스트를 국내 업체가 개발하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또 현재 대규모 양산에 쓰는 ArF 레지스트는 수출 규제 대상에서 제외해, 일본 수출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도 했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 정부가 현재 사용하는 레지스트는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하지 않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당장 받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EUV용 레지스트를 수출 규제 대상으로 삼은 것은 자국의 첨단 기술력을 부각해 정치 협상용으로 이용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09시 2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