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예원 기자 = 중국 정부의 바오샹 은행 인수와 일본의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규제로 시중은행의 이들 나라에 대한 익스포져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당장의 실적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문가들은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은행 가운데 신한·KEB하나·기업은행은 중국 바오샹은행에 예치금과 대출금 등을 합쳐 약 1천500억원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오샹은행은 중국의 소규모 민간은행이다.

최근 영업 거점인 네이멍구 지역의 경기가 부진해지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자 중국 금융당국이 인수해 1년간 중국건설은행에 운영을 위탁했다. 중국 정부가 민간은행을 인수한 것은 20년만에 처음이다.

다행히 중국 정부가 개인 예금 전부와 기업 등에 대해 90%에서 95%까지 보장하기로 하면서 시중은행의 바오샹은행 관련 손실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관계자도 "직접적인 지분 투자가 아니라 간접 투자 형식이어서 심각한 상황은 아닐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다만, 바오샹은행으로 인해 중국 내 소형은행의 파산이 이어진다면 국내 은행들도 영향을 피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지난해 소형은행에 해당하는 도시상업은행의 부실대출 증가율이 46%로, 전체 은행의 두 배를 상회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말 도시상업은행의 부실대출 비율은 10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은행의 중국 점포 부실 대출 비율은 중국 소형은행의 평균을 밑도는 수준이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로 인한 부실 확대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신한·KB국민·우리·하나·기업·농협은행 등의 중국 익스포저가 지난해와 비교해 50% 넘게 증가하고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도체 부품 수출 규제로 인한 한·일 갈등도 주시해야 할 사안이다.

현지 법인을 운영 중인 신한은행을 포함해 국민, 하나, 우리은행 등 현지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은행들은 일본 금융당국의 반응을 지켜보고 있다.

현행 법규상 법인과 지점 모두 일본 금융당국의 소관 하에 있기 때문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자금 조달의 경우 일본 금융기관이 아니더라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다만 갈등이 추가로 확대될 수도 있기 때문에 도쿄 현지에서 일본 금융당국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거래 기업의 1, 2차 벤더기업들을 챙겨 보고 있다"고 말했다.

ywkim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3시 1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