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우리나라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큰 변화를 보이고 있지 않다. 규제 대상인 수출품목이 적은 데다 한국의 펀더멘털을 좌우할 요소가 아니라는 평가가 우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이트 리스트 배제, 캐치-올(Catch-all) 등으로 규제의 범위가 확산하면 CDS 프리미엄의 안정세는 단정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22일 국제금융시장에 따르면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지난 19일 기준으로 32.13bp로 일본의 수출규제가 발표된 7월 1일 이후 1.04bp 상승했다.





CDS 프리미엄은 채권을 발행한 국가 또는 기업이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파생상품이다. 부도 위험이 커지면 당연히 금융기관에서는 높은 CDS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된다.

이 수준의 오름폭이 1bp에 그쳤다는 건 일본의 수출규제가 한국에는 실질적으로 큰 영향을 주지 않은 셈이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양상에 따라 한국의 CDS 프리미엄이 출렁이던 것과 확연하게 다르다.

올해 3월 5일 28.39bp였던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미국의 5월 2천억달러 규모의 관세 조치 대응성격으로 중국이 미국상품에 대한 600억달러 규모의 비슷한 조치를 내놓고 '블랙리스트' 카드까지 꺼내면서 38.23bp까지 치솟았다.

이후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등에서 미중 간에 '대화 무드'가 조성되고, 북미 정상의 만남까지 성사되면서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한 달 만에 다시 10bp 급락,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규제품목이 아직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쓰이는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와 포토레지스트(PR) 등 3개에 그치는 만큼 한국의 펀더멘털에 큰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적다는 평가다.

외국계증권사 발행시장(DCM) 부문의 고위관계자는 "최근 2주 동안 약 70곳의 투자자 미팅을 했는데 일본규제에 따른 이슈에 궁금해하는 해외투자자는 1~2곳 정도"라며 "국내에서만큼 해외투자자가 민감하게 생각하지 않는 듯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아마 정치적인 이슈로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의 평가다.

일본의 이달 말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게 현실화하면 약 1천100개 품목에 강화된 수출 규제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출 계약 건마다 일본 정부에서 개별 허가를 받아야 우리 기업이 조달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일본이 보다 강화한 캐치 올 카드를 꺼내게 되면 식품과 목재를 제외한 모든 품목에 수출 규제가 가능해져 피해 범위는 급속도로 확산할 수 있다.

권도현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현재까지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 등의 양적 완화에 기대감 등으로 전체적으로 금융시장이 양호한 흐름"이라며 "일본의 규제가 강해지면 그때는 CDS 프리미엄 수준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0시 4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