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실물경제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국내 은행들이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대출채권 부실화 등 불경기 리스크에 대한 대응여력을 높였다. 이자수익을 포함한 호실적을 바탕으로 금융당국이 그동안 요구했던 포용금융과 중소기업 지원에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한은행의 이자부문이익은 2조8천95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6.7%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의 순이자이익은 전년보다 5.8% 늘어난 3조1천397억원을 나타냈다.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이자이익은 각각 2조8천866억원, 2조9천300억원을 보였다. 하나은행은 전년보다 5.3%, 우리은행은 6.0% 확대했다.

이러한 이익에 힘입어 신한금융지주는 상반기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KB금융지주는 2분기 분기 기준 사상 최대다. 하나금융지주는 상반기 핵심이익 역대 최대, 우리금융지주는 경상 기준 최대 실적의 금자탑을 세웠다.

이와 달리 국내 실물경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한층 커지고 있다.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0.4% 역성장했고, 2분기에 민간의 GDP 성장 기여도는 마이너스(-) 0.2%포인트로 부진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일본의 경제보복 장기화 조짐에 다음달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80.7)는 2009년 3월 이후 최저치로 낮아졌다.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올해만 두 번 갈아치웠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권이 여신 활동을 늘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불경기는 자연스럽게 여신 부실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작년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40%였으나 지난 5월에 0.51%까지 높아졌다. 올해 들어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율이 0.16%포인트, 가계 신용대출도 0.12%포인트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다.

최근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경기리스크를 줄이는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특히, 당국은 중소기업과 서민을 위한 '포용·생산적 금융'에 대해 주문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아울러 금융감독원은 '금융 애로 현장청취반'을 운영하면서 지방에서 발로 뛰고 있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지역경제가 어려울수록 지방은행이 버팀목이 돼야 한다", "은행권이 유의업종에도 자금공급에 충실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금융위원회는 특허권, 재고 자산으로 대출이 가능하도록 동산담보 활성화 추진방안을 발표했고,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정책금융 지원, 최저 신용자들을 돕는 '햇살론 17' 등 다양한 정책으로 기반을 다지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경기가 좋을 때 은행들이 실적을 쌓았는데 경기가 부진하다고 여신을 줄이면 거시경제에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 중소기업과 산업이 살아야 은행들의 시스템리스크에도 영향이 적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대출 증가율은 하나은행이 6.5%로 가장 높다. 우리은행은 6.0%, 신한은행은 5.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경기가 어려울수록 여신심사에 대한 기법이나 리스크 관리에 대한 방안도 발전할 수 있다"면서 "벤처기업이나 지역산업 활성화에 은행이 기여하도록 할 것이다"고 전했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4시 3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