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온 나라가 일본에 대한 노여움으로 몸서리를 치고 있다. 일본이 일방적으로 우리를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등 무역전쟁을 선전포고했기 때문이다. 우리의 핵심 주력인 반도체 등 IT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도발로 풀이됐다.

정부는 일본의 적반하장을 산업경쟁력 강화의 계기로 삼겠다며 결기를 다지고 있다. 4차 산업육성과 핵심부품산업 국산화를 통해 일본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나가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당장 4차산업의 핵심 육성 대상인 스마트팩토리 정책부터 혼선을 빚고 있어서다.







<스마트팩토리 개념과 혼재돼 사용되고 있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개념도>

정부가 공고한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사업안내'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지원대상이 대부분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과 경영정보시스템(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MIS는 조직의 계획·운영 및 통제를 위한 정보를 수집, 저장·검색·처리하여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형태로 적절한 구성원에게 제공하는 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화한 통합 시스템을 말한다. MES는 생산이 비즈니스의 핵심인 제조업체의 경영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을 일컫는다. 모두 전산업체들이 담당할 몫이다. MES는 이미 30년도 더 된 기술이다. 산업현장에서 마이크로 세컨드(microsecond:백만분의 1초) 단위로 수천만건이 쏟아지는 데이터를 처리할 능력이 있을지 의문이다. MES는 데이터를 소비할 뿐이며수집하거나 배포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MES의 운영결과는 경영자 및 관리자에게 통보되는 데 그칠 개연성이 크다. 진정한 스마트 팩토리는 데이터 처리결과가 생산현장에 직접 반영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컴퓨터 화면에서 화려하게 구현되는 각종 게임이 안드로이드 등 운영시스템(OS)에 의존한 'Front End 서비스'에 불과한 것처럼 MES 등도 원천 기술이 될 수 없다. '로봇지원' 부분에서 생산라인 제어시스템 분야도'일부 로봇화'로 한정돼 있다. 생산라인 자동화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정책 당국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스마트팩토리 사업착수를 위해 제출해야 할 필수서류만 보면 과거 정부의중소기업 정책과 차별성도 떨어진다. 지원안에 따르면 '국세,지방세 완납증명서,3개년 재무제표' 등이 필요하다. 자금집행과정에 은행이 끼어 있다는 의미다.

지원을 받고자 하는 제조업체 중에 국세와 지방세를 빚 안내고 완납하고 있는 업체가 몇이나 될까. 국세 및 지방세는 물론 4대보험 완납증명서도 필요하다. 은행은 자체 신용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어서다. 이 단계에서 영세 제조업체의 70%는 모니터링 될 게 뻔하다. '3개년 재무제표'는 마의 구간이다. 여기서 대부분 제조업체들은 또 한 번 걸러질 전망이다.

4차산업의 핵심 분야 가운데 하나인 '클라우드'에 대한 개념 규정도 좀 더 엄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일부 전문가는 물론 정책 당국자까지 클라우드를 고속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플랫폼으로 알고 있어서다.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초고속의 데이터는 빅데이터 시스템에 저장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빅데이터 중심의 클라우드는 경영 및 재무 데이터처럼 동일 종류 혹은 발생 빈도가 낮은 데이터 기반이다. 가끔 데이터가 누락되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고 다음에 보상이 될 수 있는 데이터를 많이 저장해서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의미다. 일부 관계자들은 아직도 공정상의 데이터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처리돼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산업현장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모든 답은 현장에 있다. 정책 당국자들이 일부 전산업체들에 휘둘릴 경우 스마트 팩토리와 클라이드 시스템 구축 등은 소문난 잔치로 전락할 수도 있다. 전산업체가 아니라 진짜 스마트한 데이터 처리 전문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그래야 일본 제조업을 스마트하게 이길 수 있다. (취재부본부장)

neo@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0시 5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