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임하람 기자 = 미국 재무부가 중국을 24년 만에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가운데 향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의 흐름에 관심이 쏠린다.

미·중 환율전쟁 공포에 따른 달러 강세로 위안화가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서고 달러-원도 1,200원을 상향 돌파했으나 이는 단기적 흐름이고 달러화는 중장기적으로 약세를 시작할 수 있다는 분석이 조심스레 제기된다.

8일 서울환시에 따르면 일부 시장 참가자들은 중국 환율조작국 이슈가 본격적인 약달러 흐름을 촉발할 수 있는 트리거로 작용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미국이 이례적으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에 지정했다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달러 정책 폐기와 약달러 추진의 시발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번 환율조작국 지정은 미국 재무부가 통상적으로 내놓는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내려진 결정이 아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에 따라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재무부의 이 같은 결정은 중국 위안화 약세 저지와 본격적으로 약달러 정책을 추진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환율조작국 지정 후 뉴질랜드, 인도와 태국이 금리를 인하하자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를 언급하며 "연준은 반드시 금리를 더 많이, 더 빨리 내려야 한다"고 압박했다.

중국보다 연준이 더 문제라는 격한 표현도 덧붙였다.

피터 나바로 미국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도 미국의 기준금리를 다른 나라와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말 전에 기준금리를 최소 0.75%포인트 또는 1%포인트 인하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골적으로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발언이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장기화하는 국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약달러 압박이 하반기 들어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두언 KB증권 연구원은 "미·중간의 환율조작국 문제는 결국 달러화 약세의 트리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며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내면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약달러 추진 압력이 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통화시장에서 약달러 압력이 강해질 경우 이는 달러-원의 상단을 막는 재료가 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약달러 선호뿐만 아니라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도 하반기 달러화에 약세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미·중 무역 분쟁이 악화일로의 길을 걸으며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가운데 미국 경제도 무역 분쟁의 타격을 벗어날 수 없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어서다.

무역 분쟁 장기화에 따른 경기 둔화를 우려한 세계 중앙은행들이 예상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하를 단행하는 점도 달러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일 뉴질랜드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50bp 인하하며 시장을 놀라게 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 둔화 우려를 촉발해 달러화 약세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달 초 98선을 상회한 ICE 달러지수는 미·중 무역전쟁 이슈가 재점화한 가운데 97선으로 하락했다.

한 시중은행의 외환딜러는 "하반기 들어서 글로벌 달러가 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의견도 많은 상황이다"며 "달러-원이 일련의 사태로 1,200원을 상향 돌파했지만 하반기에는 약달러 등으로 1,200원 아래 레벨로 회귀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외국계 은행의 외환딜러도 "무역 분쟁 이슈가 발생했는데 달러화 지수가 약세 흐름을 보인다는 것은 무역 분쟁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며 "미국도 무역전쟁의 희생을 입는다는 인식으로 이는 장기적으로 약달러를 불러오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rl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07시 5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