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중국이 지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7위안, 즉 포치(破七)를 허용하면서 지난 2015년 8월 나타난 대규모 자본 유출을 막을 수 있을지 시험대에 올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중국 기업들의 달러화 표시 부채는 약 9천억달러(한화 약 1천조원)로 5년 전과 비교해 거의 3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위안화 절하 폭이 커지면 외채가 많은 중국의 부동산 개발업체나 다른 기업들의 부담이 커진다. 이들 기업은 위안화를 벌어들이지만 대부분 달러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5년 8월 당시 인민은행은 달러-위안 기준환율을 이틀 연속 2% 육박하는 수준으로 절상(위안화 절하) 고시하면서 위안화가 폭락한 것은 물론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을 던졌다.

이론적으로 중국은 자국으로 유출입 되는 자금에 대한 강력한 통제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년간 합법적인 범위에서나 불법적인 측면에서 이미 대규모 자본 유출을 겪고 있었으며 2015년 수천억달러가 유출되면서 자본 유출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홍콩과 마카오를 경유해 자본이 빠져나가기도 하고 중국 기업들은 해외 수입 규모를 부풀리는 방법 등을 통해 자본을 유출했다.

이후 중국 당국은 국경 간 인수합병 승인을 강화하고 국내 은행의 카드를 사용한 해외에서의 자금 인출 제한 등 등 기업과 개인들이 해외로 자본을 빼는 것을 어렵게 하는 조처 등을 발표했다.

베를린 소재 싱크탱크인 MERICS(Mercator Institute for China Studies)에 따르면 2016년 6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중국 정부는 75가지 자본통제 방안을 발표했다. 시장 여건에 따라 당국이 규제를 완화하거나 혹은 강화할 수 있는 조처들이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이런 자본 유출 통제 조치가 도입됨에 따라 위안화 소폭 절하에도 2015년과 같은 대규모 자본 유출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ANZ은행의 쿤 고 아시아리서치 헤드는 "중국 당국이 위안화 절하를 허용한 것은 보유하고 있는 행정조치를 통해 대규모 자본 유출을 막을 수 있다고 보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지난 5월 중국 국가외환관리국(SAFE)은 기업과 개인이 외환거래 규정을 위반한 17건을 발표했다.

처벌 사례를 공개한 것은 중국 당국이 자본 유출을 얼마나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위반 사례가 나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매체는 말했다.

34개의 은행 계좌를 이용해 250만달러를 해외로 이체한 한 개인은 83만위안(약 1억4천만원)의 벌금 처분과 함께 감시대상에 올랐다.

이같은 기조 덕분에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위안화의 대규모 절하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일례로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BAML)는 연말 달러-위안 전망치를 7.3위안으로 제시했다.

도이체방크 역시 전면적인 무역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연말 7.1위안을 예상했다.

지난 9일 역내 달러-위안 환율은 7.0520위안에 마쳤다.

일부에서는 엄격한 자본통제에도 위안화가 더 절하하면 중국이 자본 유출을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루이스 퀴즈스 아시아경제 담당 헤드는 정책 담당자들이 대규모 자본 유출을 촉발할 수 있는 위안화의 대폭 절하는 편하게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인들은 위안화 절하를 추가적인 약세의 조짐으로 본다"면서 "이 때문에 일부에서 해외로 자금을 이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냇웨스트마켓츠의 만수르 모히우딘 선임 매크로 스트래티지스트는 "중국 당국이 2015년보다 훨씬 강력하게 자본통제에 나설 것"이라면서 "자본 유출의 위험을 매우 깊게 인식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sm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08시 5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