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글로벌 무역전쟁과 가파른 국내 경기 둔화, 미국의 장단기 금리 역전 등 잇단 경고 신호에도 서울 채권시장에선 한국은행의 8월 기준금리 인하가 어렵다는 전망에 다소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우선 한은이 금리 인하 여력을 빠르게 소진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한·일 무역분쟁의 충격이 아직 가시화하지 않은 점, 증가 추세인 가계부채 등이 8월 금리 인하를 가로막는 요인이다.

19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복수의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8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다른 참가자들은 8월 금리인하 얘기도 하겠지만,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앞당겨지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내리기에는 한은도 부담이 될 것"이라며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소수의견 출현 정도에 그칠 것 같다"고 말했다.

8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예상하는 참가자들도 있지만 이를 확신하는 어조는 아니다.

다른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8월 인하 가능성이 크지는 않지만 아주 없는것도 아니다"며 "8월 인하 가능성에 대한 힌트가 시장에 나올지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시장의 미지근한 전망에도 금리는 이미 두 번 정도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했다.

지난 16일 국고채 3년물은 1.095%까지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 최근에는 국고채 3년물보다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하던 통안채 2년물 등 단기 구간의 금리도 빠른 속도의 하락세를 보여 금리 인하 기대를 반영했다.



<국고채 3년(검정)과 통안채 2년(빨강) 금리 추이>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금리 수준이 워낙 앞서 내려와서 8월 금리 인하도 이상하지는 않다"며 "다만 2008년 금융위기 당시를 제외하면 한은이 금리를 연달아 인하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남은 금리 인하 여력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추가 금리 인하 여력이 없지는 않지만, 금리 하한이 선진국보다 높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이 총재는 지난 7월 금통위 회의 뒤 기자간담회에서 "기축통화국이 아닌 우리나라 경우에는 실효 하한이 선진국보다 높을 수 있고, 이번에 기준금리가 낮아졌기 때문에 그만큼 정책 여력도 축소됐다고 볼 수 있다"면서도 "한 번의 금리 인하로 당장 기준금리가 실효 하한에 근접하게 된 건 아니기 때문에 한은이 어느 정도 정책 여력은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아직 본격적으로 국내 경기에 충격을 주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이 화이트 리스트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했지만 실제 발효는 8월 28일 이후"라며 "8월에는 백색국가 제외 영향은 없다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가계부채도 증가추세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7월 중 전(全)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2천억 원 증가해 전월 5조1천억원 보다 증가폭이 확대했다. 증가 규모는 작년 7월의 5조6천억 원에 비해서도 6천억 원 더 많다.

다만 미국의 장단기 금리 역전이 보내는 경기 침체 신호와 홍콩 사태가 금융위기로 번질 가능성 등은 8월 인하 전망을 가볍게 버릴 수 없는 이유다.

홍콩 시위는 제2의 '톈안먼(天安門)사건' 번질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중국 성장률은 1989년 톈안먼 사건을 겪으면서 1988년 11.2%에서, 1989년 4.2%, 1990년 3.9%로 추락한 바 있다.

다른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홍콩 시위는 한국의 광주사태처럼 악화할 수도 있다"며 "진정한 블랙스완 이벤트"라고 말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08시 2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