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일본의 수출 규제로 한국과 일본 기업 간 협력관계가 흔들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당수의 기업들은 일본의 수출 규제가 산업경쟁력 강화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일 일본기업과 거래하는 국내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산업계 영향과 대응 과제를 조사한 결과 3곳 중 2곳인 66.6%가 일본기업과의 거래 관계에서 신뢰가 약화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한일 간 경제협력 방향에 대한 질문에는 일본 의존도를 낮추고 협력을 축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56.0%로 일시적으로 관계가 악화해도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응답(44.0%)을 앞질렀다.

일본 수출규제가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 기업의 55%가 산업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답해 상당수 기업은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경쟁력이 약화할 것이란 응답은 30.6%였고, 14.4%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봤다.

대한상의는 "일본 기업은 우수한 품질과 적시 생산시스템으로 신뢰가 높았다"며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이후 일본 기업이 안정적 사업파트너라는 국내기업들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응답 기업의 55.0%가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했다.

피해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도 45.0%였다.

업종별로는 관광(87.8%)과 반도체(85.4%) 등의 산업에서 피해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왔다.

조선(18.6%)과 전지(38.7%) 등의 산업은 상대적으로 피해를 예상하는 응답률이 낮았다.

직접적 피해보다는 간접적 피해에 대한 우려도 상대적으로 컸다.

직접적 피해 부문인 대일 수출이나 대일 수입에서 크게 영향받을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15.8%, 28.8%였다.

간접적 부문인 관광산업, 기술교류에서는 같은 응답이 48.4%, 34.8%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 규모에 따라 수출규제 대응책 준비에 차이가 있었다.

대기업의 경우 4곳 중 3곳(73.0%)이 이미 대책을 마련했거나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

중소기업은 4곳 중 1곳(26.0%)만이 대책을 마련했거나 준비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 대응 방안으로 신규 거래처 확보가 46.7%로 가장 많았고, 기존 거래처와 협력 강화(20.3%), 재고 확보(8.6%), 일본 외 지역 개발(6.6%), 독자기술 개발(6.1%) 순이었다.

기업들은 또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연구·개발(R&D) 세액공제 확대(37.8%)와 대·중소기업 협력체계 구축(32.0%), 규제 혁신(19.4%),인수·합병(M&A) 등 해외기술 구입 지원(10.8%)에 나서야 한다고 답했다.

규제 개선과제로는 화학물질 등록·관리 등 환경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26.0%로 가장 높았고, 근로시간 등 노동규에(25.2%), 일감 몰아주기 등 내부거래규제(24.8%) 등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봤다.

박재근 대한상의 산업조사본부장은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가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보는 시각도 있다"며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R&D와 기업 간 협업, 규제, 노동, 환경 등 산업 전반의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