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국내 경제의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자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우려 확산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기재부는 3일 김용범 1차관 주재로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거시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와 기재부 경제정책 국장, 한은 조사국장, 물가 관련 실무를 맡은 과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례적으로 회의 내용을 공개하며 물가 부진의 원인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거시정책협의회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물가 하락에 따른 디플레이셔 우려 확신이 예상되자 적극 행동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2015년 100 기준)는 104.8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038% 하락했다.

지난 1월부터 7개월째 0%대를 보이다가 결국 마이너스로 전환한 셈이다. 물가 하락은 1965년 1월 소비자물가 통계를 작성하고서 처음이다.

디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하락하는 상황을 말한다. 최근 물가 부진은 작년 농산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 등이 큰 만큼 디플레라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진행됐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하다.

특히 경제 주체들의 활동과 직결되는 기대 인플레이션 추이를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된다.

지난달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0%로 2002년 2월 편제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기대 인플레는 향후 물가가 어느 정도 오르겠다고 경제 주체들이 생각하는 수준을 말한다.

기대 인플레가 낮아질 경우 기업은 상품 가격과 임금을 올리지 않고, 투자를 연기한다. 가계도 소비를 줄이는 등 연쇄 작용이 일어난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대부분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타켓팅을 통해 기대 인플레를 목표 수준에서 안착시키려 하는 이유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기대 안착과 인플레 지속성' 제목의 워킹 보고서에서 향후 인플레 경로에 대한 경제 주체들의 기대가 잘 안착하지 않을 경우, 일시적 물가 충격이 소비자 가격 결정 과정에 더욱 오랫동안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또 이를 되돌리기 위해선 더욱 강한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잃어버린 20년'을 경험한 일본 경제관료의 조언도 재조명되고 있다.

일본 재무성 재무관(차관) 출신인 나카오 다케히코(中尾武彦)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는 국내 경제의 일본화 우려와 관련 "무엇보다 디플레이션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며 "일본의 경우 디플레이션이 발생한 후 금융부문의 충격에 연쇄적으로 뒤따랐다"고 언급한 바 있다. (2015년 5월 26일 송고한 'ADB 총재 "韓, '일본화' 피하려면 디플레 막아야"'기사 참조)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물가가 높은 상황에서 기대 인플레가 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현재는 경기침체가 지속해서 이뤄지는 등 디플레에 가까운 상황이다"며 "기대 인플레가 낮아지면서 경기침체를 가속화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hwr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