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일본 수출규제에 맞서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초·원천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늘린다.

정부는 현재 1천600억원 규모의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R&D 투자규모를 내년에 3천억원 규모로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우선 내년부터 소재·부품 등에 특화된 기초연구실 60여개를 지정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핵심소재 기술 자립을 위한 연구 저변 확대와 기초기술 확보를 지원한다.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4천4억원 규모의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을 새롭게 추진해 기초연구성과를 사업화로 연결한다.

또 기존 25개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연구단 외에 해외 의존도가 높은 소재의 혁신적 대체소재 원천특허 확보를 위한 연구단 3개를 신규로 선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326억 원 규모의 소재혁신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과 출연연구소 등이 보유한 원천기술과 기업의 수요를 융합하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된 기초·원천연구와 개발·사업화 연구의 간극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주로 미래소재 중심으로 지원된 기초원천 R&D 투자는 주력산업 분야의 기술자립이 시급한 소재와 선제적 위기 대응 소재 등으로 다양화한다.

이를 위해 투자의 시급성과 기술개발의 파급성 등을 고려해 기술개발 착수를 지원한다.

또 방사광 가속기 기반의 반도체 검사용 극자외선(EUV) 광원과 검사장비 개발에 내년 115억원을 투입하고, 고도의 측정과 분석을 위한 연구장비의 국산화 기술개발에도 73억원을 투자한다.

기초·원천 R&D 추진할 때는 산·학·연의 과도한 과제 수주 경쟁을 완화하고 연구개발 주체 간 역할 분담과 연계를 더욱 강화한다.

대폭 확대된 기초·원천 R&D 사업들이 최적의 사업추진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수준과 산업 성숙도 등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방식도 적용한다.

소재·부품 연구개발 주체 간의 정보 개방과 공유를 활성화하고, 첨단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유기적 협업 연구개발 지원을 위해서는 올해부터 향후 5년간 약 1천700억원이 신규로 투자된다.

소재·부품 연구개발 과정에서 개별 연구자들이 축적한 다양한 연구데이터를 수집·공유·활용하는 소재연구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연구개발의 소요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다양한 연구 성과의 연계와 융합도 촉진할 계획이다.

반도체 소재·부품 연구자와 중소기업 등이 실제 반도체 공정과 유사한 환경에서 연구결과와 시제품을 실증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공공 테스트베드 구축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소재 원천기술의 완성도 제고를 통한 조기성과 창출과 시급한 반도체 소재·부품 테스트베트 구축을 위해 올해 추경예산 241억 원을 편성해 추진하고 있다.

이달 중 연구단과 시설·장비 구축기관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날은 문미옥 과기정통부 제1차관이 대전 소재 SK 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을 찾아 대학, 출연연, 기업 관계자 등과 함께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원천 R&D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모색했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