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인포맥스) 곽세연 특파원 = 미국의 총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2천%에 육박한다는 경고가 나왔다.

9일 CNBC에 따르면 AB 번스타인(AB Bernstein)은 모든 형태의 정부, 주, 지방, 금융과 재정지원 등을 포함한 미국의 전체 부채가 GDP의 1천832%라고 주장했다.

여기에는 채권과 같은 공공 부채 등 전통적인 부채뿐만 아니라 금융 부채, 사회 보장, 메디케어, 공적 연금 등으로 불리는 향후 잠재 부채까지 포함된다.









AB 번스타인의 필립 칼슨-스레자크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끔찍한 미래의 부채를 걱정하는 이들이 이런 총부채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개념적 차이는 인정해야 한다"며 "상황이 심각하지만, 이런 수치가 파멸에 이르거나 부채 위기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을 증명하지는 못한다"고 말했다.

관건은 항상 총 달러 부채 규모가 아니라 지급 능력이다.

그는 "미국 부채 규모가 크고 성장하고 있지만, 부채 문제에 대해 고민한다면 규모보다는 여건이 더 중요하다"며 "거시적 상황이 압박을 가한다면 부채 문제는 더 낮은 부채 수준에서도 이미 발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잠재적인 부담은 재정지원에서 나오지만, 연방 정부의 늘어나는 부채 수준에서도 압박을 받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미 미국의 잠재 부채 위험에 대한 경고는 전체 연방 부채가 22조5천억 달러로 치솟으면서 제기됐다.

칼슨-스레자크 이코노미스트는 "각각의 부채는 다른 위험을 안고 있으며 전체로는 2천%에 육박한다"며 "미국 국채의 디폴트는 세계 경제에 심각한 재앙을 초래할 수 있지만 정책 변화는 가까운 미래에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부채 개혁 찬성론자들은 지금이 미국 경제에 침체가 닥치기 전에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라고 주장한다.

무디스의 크리스티나 패젯 선임 부대표는 "다음 신용 사이클 하강 국면이 올 때 지금 투기등급 등 일반적으로 낮은 신용등급의 디폴트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뜻"이라며 "대침체 당시 디폴트가 모든 등급 발행자의 14%를 차지하는 등 정점을 찍었는데, 이를 웃돌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현재 디폴트 비율은 경기 여건이 양호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sykwa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3시 2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