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잃어버린 20년'은 일본에서 발생한 장기 불황을 일컫는 용어다.

일본은 1980년대 후반, 1990년대 초반부터 약 20년간 장기 디플레이션을 경험했다.

부동산 시장의 버블이 붕괴하고, 이에 따른 은행 부실이 기업과 가계의 부도로 연결돼 경제가 장기 침체 국면에 접어든 현상이다.

경기 전반이 침체의 늪에 빠지면서 불황이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졌다.

일본 정부는 경제에 활력을 넣기 위해 다양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도입했지만 2001년까지 평균 경제성장률이 1.1%에 그치며 장기 불황을 탈피하지 못했다.

최근 한국의 성장률과 물가 부진 우려가 제기되면서 한국도 일본이 겪은 것과 같은 '잃어버린 20년'의 수렁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올해 1분기부터 성장률 우려도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 경제가 일본과 같은 장기 침체를 겪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2015년 100 기준)는 104.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038% 하락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공식적으로는 0.0%이지만, 사실상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196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고는 처음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또한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하향 조정된 1.0%로 집계됐다.

지난 1분기 GDP 성장률이 -0.4%를 기록하며 역성장 쇼크를 준 데 이어 2분기 연속 부진한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소비자·수출·수입물가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GDP 물가' 개념인 GDP 디플레이터는 -0.7%를 기록하며 3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경제 지표 부진에 'D(디플레이션)의 공포'와 '일본화'(Japanization) 우려가 거세지자 정부는 적극적으로 우려를 진화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3일 김용범 1차관 주재로 열린 거시정책협의회 내용을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물가 부진의 이유를 자세히 설명했다.

김 차관은 최근 물가 부진은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겪은 일본과는 전혀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저물가 상황은 수요 측 요인보다는 공급 측 요인에 상당 부분 기인했다"며 "물가 수준이 광범위하게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도 일부에서 제기되는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말했다.

윤 부총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공급 및 정부 정책 측면의 물가하락 압력이 이어지고 기저효과도 있어 크게 낮아졌지만, 연말에는 기저효과가 사라질 것이다"고 언급했다. (금융시장부 임하람 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hrl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7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