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주식시장에서 정치테마주가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조국 법무부 장관 주변의 여러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주식시장에는 이른바 조국 테마주들의 시세가 출렁거렸다. 조 장관의 지명과 동시에 테마주로 묶인 주식들은 큰 폭으로 상승했고, 가족·친지 등 주변의 의혹이 불거지자 롤러코스터를 탄 듯 급등락을 거듭했다. 조 장관의 취임 이후엔 대선후보군에 묶이면서 다시 시세를 분출하는 모양새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활동을 활발히 하는 홍정욱 전 의원도 정계 복귀설이 나오면서 테마주가 주목받고 있다. 일부 주식은 상한가까지 오르기도 했다. 지난 대선에 출마한 안철수 씨와 관련된 테마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연결 지어진 테마주 등 정치인 테마주는 물론이고 조국 장관 의혹 수사를 주도하는 윤석렬 검찰총장과 관련한 테마주까지 나왔다고 한다.

이러한 행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우려된다. 여야를 막론하고 유력 대선 후보로 떠오른 정치인과 관련한 종목은 싫든 좋든 시장의 주목을 받을 것이고 그에 따라 시세가 급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테마주의 역사는 오래됐다. 과거부터 박근혜 테마주, 문재인 테마주 등 대권 후보의 이름을 딴 테마주들이 많았고 그 뿌리를 찾아가다 보면 9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직도 후진성을 극복하지 못한 우리 증시의 부끄러운 모습이다.

더욱 문제는 이른바 정치테마주로 묶인 종목이 당사자와 별 관련이 없으며, 억지춘향식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조 장관과 관련된 종목 중 일부는 단순히 고등학교 동문이라는 이유로 테마주로 묶였으며, 어떤 종목은 감사가 조 장관과 해외 대학 동문이라는 이유로 테마주가 되기도 했다.

다른 정치인들과 연관된 테마주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친인척과 혼맥, 동문 관계는 물론이고 실질적인 지분 관계가 없는데도 테마주로 묶이고 널뛰기하듯 오르락내리락한다. 당사자들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데도 막무가내식으로 갖다 붙인 것이다.

법이나 규제로도 쉽게 잡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감독 당국과 거래소가 할 수 있는 일은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하거나 시세급변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하는 것뿐이다. 주가조작 세력을 잡을 때와 달리 테마주에 대해선 당국도 적극성이 없다.

주식의 본질은 실적과 성장성에 바탕을 둔 미래가치에 대한 투자다. 이에 반해 테마주는 실체 없는 풍문에 의한 투기적 거래다. 풍문의 사실 여부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다. 오직 한탕주의만 있을 뿐이다.

권력을 잡으면 권력자와 관련된 기업이 이득을 보는 적폐를 청산하자는 게 지금의 시대정신 아닌가. 정치 테마주는 시대정신에 역행하고 정경유착을 당연시하는 그릇된 행태의 반복일 뿐이다.

우리 증시에서 근본 없는 정치테마주는 이제 그만 보고 싶다. 바람처럼 나타나 연기처럼 사라지는 남북경협 테마주, 방산테마주, 애국테마주 등 이른바 '○○ 테마주' 역시 마찬가지다. 증시를 흙탕물로 만드는 행태가 개선되지 않는 한 증시 선진화는 머나먼 얘기다. (자본시장부장)

jang7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2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