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국내 최초로 해외 곡물 수출터미널을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5일 우크라이나 미콜라이프에서 김영상 사장과 유리 부드닉 오렉심그룹 회장, 권기창 우크라이나 대사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식을 개최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운영권자로서 지분 75%를 확보한 곡물터미널은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최대 수출항 중 하나인 미콜라이프 항에 위치하고 있으며, 밀과 옥수수, 대두 등 연간 250만t 규모의 곡물 출하가 가능하다.

우크라이나는 곡물 생산량은 지난 2007년 4천만t에서 2017년 7천700만t으로 약 2배, 수출량은 같은기간 850만t에서 4천300만t으로 약 5배 증가했다.

특히, 전체 곡물 수출량의 약 90%가 흑해 항만을 통해 수출되고 있으며, 이중 최대 물량인 22.3%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곡물 수출터미널이 위치한 미콜라이프 항에서 수출되고 있다.

현지 파트너사인 오렉심그룹은 우크라이나 해바라기씨유 수출 분야에서 선적 점유율 30%를 차지하는 1위 기업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을 통해 우크라이나 생산 곡물의 수매와 검사, 저장, 선적에 이르는 단계별 물류 컨트롤이 가능해졌다"며 "흑해의 곡물조달 조기 물량 확보로 아시아와 북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의 연계 수요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고 말했다.

세계 식량 생산은 이상 기후 발생 빈도 증가 등에 따라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향후 국제 곡물 시장에서의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국제 곡물시장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쌀을 제외한 식량 자급률이 10% 미만으로 대부분의 곡물 수급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한국 최대의 식량자원 기업을 목표로 식량사업 밸류체인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그 중심에 우크라이나 곡물수출 터미널이 있다"며 "세계적인 곡물시장인 우크라이나와의 사업 협력은 '대한민국 식량안보 구축'과 포스코그룹 100대 과제 달성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15년부터 곡물 트레이딩 물량을 늘려가며, 쌀을 시작으로 밀과 옥수수, 대두, 보리 등 주요 곡물로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곡물 트레이딩 뿐만 아니라 투자를 통한 식량인프라 구축으로 '농장형 → 가공형 → 유통형'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 확장을 추진 중이다.

농산물을 직접 생산하는 농장형 인프라 사업으로는 인도네시아 팜오일 사업을 들 수 있다.

2011년부터 시작한 인도네시아 팜오일 사업은 인도네시아 파푸아주에 팜 농장을 개발하여 팜유 생산 및 판매를 하고 있다.

팜유는 전세계 식용 오일 1억7천만t 중 39%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건조, 도정 등의 작업을 진행하는 가공형 인프라 사업은 지난 4일 2공장을 준공한 미얀마 미곡종합처리장 등이 있다.

미얀마 에야와디주 곡창지대와 양곤 수출항을 이어주는 뚱데 수로변 물류거점이 위치한 미곡종합처리장은 쌀을 도정, 저장, 포장하는 조달 기지로, 2개의 공장에서 연간 총 10만t 규모를 가공 할 수 있다.

농산물의 저장과 트레이딩 거점을 운영하는 유통형 인프라 사업에는 이번에 준공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이 꼽힌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을 바탕으로, 2023년까지 곡물 1천만t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곡물트레이더로 성장할 것"이라며 "철강과 에너지 사업과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 핵심사업으로 식량사업을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jw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1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