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중국과 대만 및 홍콩 간 관계 악화가 우리나라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은 6일 한은 해외경제포커스에 실린 '중국과 대만·홍콩 간의 관계 :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무역과 금융 연계성을 감안할 때 중국과 대만·홍콩 간의 관계 변화가 우리 경제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8년 기준으로 대만과 홍콩은 각각 우리나라의 6위(208억달러), 4위(460억달러)에 해당하는 주요 수출지역으로 이들 지역을 통한 대중국 수출도 상당한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대(對)대만 및 홍콩 수출 중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1.3% 및 73.0% 수준에 달한다.

또 우리나라의 대홍콩 수출 중 중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은 82.6%이다.

실제로 지난 8월 1일 중국의 대만행 개인 여행 잠정 중단 조치부터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 관련 시위 등으로 중국과 대만과 홍콩 간 갈등은 확산할 조짐을 보인다.

지난달 4일 홍콩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공식 철회 이후에도 '우산 혁명' 5주년 기념일 시위부터 이달 중국 국경절 애도 시위까지 좀처럼 시위 열기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한은은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 약화 및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성장세 둔화에 더해 금융시장 불안정이 심화될 경우 중국 경제 경착륙론 혹은 위기론이 확산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최근 홍콩경제가 시위 격화로 큰 타격을 받고 있어 내부적으로 비판 여론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지난달 6일 신용평가사 피치사는 홍콩의 국가신용등급을 종전의 AA+에서 AA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당초 우려됐던 중국의 군사 개입 가능성에 대해선 "대내외 파급 영향, 홍콩의 금융 허브로서의 역할 등을 감안할 때 직접적 개입의 실익이 크지 않다"며 "1989년 천안문 사태 당시 글로벌 교역에서 중국 비중이 1.8%에 불과했던 데 반해 2018년은 11.8%에 달한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대만의 경우에도 중국이 대만의 최대 수출(29.0%) 및 투자 지역(37.3%)인만큼 중국과의 관계 악화가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관광 수입 감소로 대만 경제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으로서도 부담이다.

대만과의 교역 부진과 대만 기업들의 리쇼어링 등은 고용 및 핵심분야 기술 개발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서다.

한은은 "2020년 샤오캉(小康)사회, 즉 국민들이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 문제가 없는 중산층 사회 달성을 목표로 하는 중국으로서는 정치·경제적 안정을 위해 대만·홍콩과의 원만한 관계 유지가 필수"라면서도 "홍콩 시위 전개 양상과 중국의 대응, 양안간 갈등 격화 가능성 등 다양한 상황에 따른 중 국경에 변화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y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