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취약차주의 대출과 비은행 대출 비중이 꾸준히 감소해 가계대출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취약 차주란 3건 이상 금융기관 차입을 한 다중채무자이면서 신용등급 7~10등급의 저신용, 또는 소득 하위 30%의 저소득 차주를 말한다.

한국은행이 2012년 이후 집계된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추정한 취약차주 대출 규모를 보면 액수 기준으로는 감소와 증가를 거듭하면서도 대체로 80조원대 초중반에서 등락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 가계대출 중 취약 차주의 대출 비중은 2012년 9.4%에서 꾸준히 줄어들었다. 2013년 8.0%로 큰 폭 줄어든 후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여 올해 2분기 5.9%를 나타냈다.

또 취약차주의 업권별 가계대출 현황을 보면 제2금융권에서의 대출 비중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15%에 달했던 비은행 대출 비중은 매년 감소해 올해 2분기 8.9%로 54조7천억 원을 나타냈다.

특히 대부업 대출은 2012년 비은행권 대출 비중에서 무려 75.4%에 달했으나 8년간 꾸준히 감소해 올해 2분기 60.4%로 쪼그라들었다.

반면 은행 등 제1금융권 대출 비중은 2017년 3.6%로 2016년 3.5%에서 반등하기 시작해 올해 2분기 3.7%를 나타냈다. 대출 금액으로는 31조2천억 원이다.







한은 금융안정국 관계자는 "정부의 취약 차주를 대상으로 한 금리 대환 등 가계대출 관리 영향으로 보인다"며 "전체 대출 규모는 늘어나고 있지만, 속도가 둔화되고 있고, 취약 차주 비중도 꾸준히 줄어 전체 가계대출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은 2015~2016년 중 서베이 자료인 가계 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해 부채상환능력이 취약한 가계를 '한계가구'로 정의하고 규모를 추정한 바 있었으나 가구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를 기준으로 산출돼 실물자산을 포함한 가계의 총체적인 상환능력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어 2017년 이후 더는 이를 추정하지 않고 있다.

대신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계층의 부채를 평가하기 위해 차주 기준의 '취약차주'와 가구 기준의 '고위험가구'를 정의하고 관련 지표를 산출하고 있다.

고위험 가구란 DSR이 40%를 초과하고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 가구를 뜻한다.

sy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