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은 글로벌 구조적 요인과 한국의 추세 인플레이션 사이의 상관관계가 0.91로 매우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특히 2013년 3분기를 전후로 영향력이 더욱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10일 '글로벌 요인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추세 인플레이션 분석을 중심으로' 논고에서 "글로벌공급망(GVC) 확충, 온라인거래 확산 등 구조적 요인이 전 세계적인 저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논고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1개국 추세 인플레이션을 추정한 후 공통적인 움직임을 추출해서 추세 인플레이션을 추정했다.

분석 결과 글로벌 추세 인플레이션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평균 2.0%였다. 금융위기 이후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추세 인플레이션은 1.4%로 낮아졌다. 한국의 경우, 2001~2008년 추세 인플레이션은 2.5%였고 2011~2018년은 1.7%로 글로벌 21개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2013년 3분기를 전후로 한국에 대한 글로벌 요인의 영향력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에 대한 글로벌 추세 인플레이션 상관관계는 0.5였지만 2001년부터 2019년 1분기까지로 시계를 확장했을 때 상관관계는 0.91로 크게 높아졌다.

글로벌 요인의 영향력 확대는 상품과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나타났다. 상품과 공업제품, 농·축·수산물, 서비스 모두 상관관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글로벌 추세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있어서 개별 국가의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을 하회할 경우 목표로 수렴하는 속도를 완만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 역시 글로벌 요인이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고, 그 정도는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분석했다. 다만, 최근 한국의 낮은 물가 상승률은 일시적 요인으로 추세를 크게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낮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할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