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예원 기자 = 금융당국이 앞으로 핀테크 기업들에 대해 아시아 공동으로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핀테크 스케일업 전략을 두고 구성한 '핀테크 해외진출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아시아 공동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가칭 아시아 공동 규제 샌드박스는 한 국가에서 규제 샌드박스로 지정이 될 경우 상호협약을 맺은 다른 국가에서도 규제 샌드박스 적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이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처음 도입한 영국에서 주도하는 글로벌 규제 샌드박스와 유사하다.

영국 금융당국이 주도한 세계 금융 규제당국 간 협의체인 글로벌 금융혁신 네트워크(GFIN·Global Finacial Innovation Network)는 지난 1월 공식 출범했다. 여기에는 호주증권투자위원회(ASIC), 바레인중앙은행(CBB), 프랑스금융감독청(AMF), 홍콩금융관리국(HKMA), 카자흐스탄금융서비스국(AFSA), 싱가포르통화청(MAS), 미국소비자금융보호국(BCFP), 버뮤다통화감독청(BMA) 등 29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는 가입국의 핀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국경을 초월한 혁신금융서비스 테스트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기업들은 혁신 기술을 여러 개 국가에 동시다발적으로 실험해 볼 수 있는 셈이다.

금융당국은 동남아시아 등 신남방국가로의 진출 활성화를 염두에 두고 이러한 기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신남방정책을 주관하는 대통령 직속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와도 협력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도 지난 4월 보고서를 통해 GFIN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국내 핀테크 규제 수준의 적정성을 점검함은 물론 해외에서만 가능한 혁신금융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할 수 있다는 논리다.

그간 국내 핀테크사들은 자력으로 해외에 진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국내에서는 벤처캐피탈(VC)이 해외보다 활성화되지 않아 핀테크 업체가 투자를 받기 어렵다.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현지 회사와의 파트너십 등이 없이는 단독 진출도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금융당국에서는 현지 감독당국과 함께 '3자 파트너십' 규제 샌드박스에 대한 논의도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핀테크사와 현지 스타트업, 그리고 현지에 진출한 우리나라 은행간 파트너십을 맺어 규제 샌드박스를 신청할 경우, 현지 감독당국이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방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신남방국가의 경우 미국이나 중국 회사들의 시장 침투가 심하기 때문에 한국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특히 현지 회사와 협업할 가능성을 열어뒀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이러한 내용을 이르면 이달 말 발표가 예정된 핀테크 스케일업 전략에도 포함시킬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존에도 상호 협약을 맺은 국가에 핀테크 기업을 추천해주는 상호 추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유사한 논의들은 있었다"며 "아이디어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ywkim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2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