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참여

2019
10월
2020.
1분기
2020.
2분기
코멘트

미래
에셋
대우












구혜














1.25














1.25














1.25














10월 금통위에서는 대내 경제지표
부진 및 11월 수정경제전망 하향
조정 가능성을 선반영하여 기준금
리를 25bp 인하할 전망. 다만, 추
후 금리인하 여부는 1) 경제지표
부진 지속 여부, 2) 확장적 재정
정책에 따른 경기부양 효과 여부,
3) 대외 불확실성 확대 여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이에
10월 금통위 이후 통화정책에서
는 한국은행이 추가 금리인하에
대해 보수적인 스탠스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


소시
에테
제네




오석






1.25






1






1






금리를 1.50%에서 1.25%로 25bp
인하. 금리 동결을 주장하는 금통
위원 한 명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
. 실망스런 물가 상승세와 글로벌
통화 완화 분위기, 한은의 비둘
기파적인 태도가 인하 예상의 근
거.
신영
증권





























조용






























1.25






























1.25






























1.25






























10월 기준금리 인하, 동결 소수의
견 1명(이일형 위원) 예상. 그 배
경은 1) 7월 경제전망(경제성장률
2.2%, 물가상승률 0.7%) 달성 현
실적으로 어려워짐(당사 2.0%, 0.
5% 내외 예상) 2) 수출과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미중 무역협상
결과 또한 빅딜이 아니라면 당장
상방요인으로 작용은 어려움 3) 9
월 CPI 전년동월비 -0.4% 기록,
디플레 논란 뿐만 아니라 실질금
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더욱 완화
적인 통화정책 필요 4) 7월 금통
위 이후 연준의 두 차례(7월, 9월
) 금리 인하 실현. 또한 4분기 추
가 인하가 유력한 점 감안하면 우
리도 인하 여력 확보 등. 이주열
총재 국감 발언과 홍남기 부총리
‘policy mix’ 언급 등에서 인하
시그널도 충분히 제시된 상황.
내년 1분기 추가 금리 인하를 위
해서는 'L자 경로' 보다 강한 경
기 하방리스크 부각 필요, 당사는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높지 않다
는 판단. 빨라야 추가 인하 시점
은 5월로 전망





유안
타증

















이재


















1.5


















1.75


















1.75


















대외 경제 여건 불확실성 지속되
나, 악화되지 않고 있으며 미중
무역분쟁 불안 완화 가능성 제기
되는 중. 향후 대외경제 여건 악
화될 가능성에 대비해서 통화정책
여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기준
금리 동결 전망. 주요 기업 실적
개선과 주가지수 회복 시도, 4분
기부터 인플레이션은 상승세로 반
전되는 구조로 거시지표 전환되는
시기인 점도 고려. 주요국 통화
정책회가 월 후반에 있어 정책동
향을 확인할 필요 있으며, 시중
유동성 여건은 안정적으로 유지되
고 있어 한국은행이 선제적으로
정책 대응에 나설 필요는 낮은 편
.


유진
투자
증권


































신동




































1.25




































1




































1




































10월 금통위 1.25%로 25bp 인하
예상. 지난 8월 금통위에서 두 명
의 금통위원이 금리인하를 주장한
데다 이후 경제지표의 부진 및 저
물가 등을 고려할 때 성장의 하방
리스크에 대응한 금리인하가 예
상됨. 다만 재정 정책 중심의 확
대와 금융불균형을 고려해야 한다
는 금통위원 의견을 고려하면 소
수 동결 주장이 제기될 것으로 예
상됨. 한 차례 금리인하 기대를
선반영한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시장의 초점은 10월 이후의 정책
스탠스인데 미/중 무역협상 진전,
브렉시트 합의 가능성 등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올해보다 높
은 내년도 성장 및 물가 전망을
고려할 때 추가 인하에는 신중하
게 접근할 전망임. 대외불확실성
요인에 따라서는 내년도 1분기 추
가 금리인하 가능성은 열려있지만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쪽으로 선
회될 경우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은 약화될 것으로 예상됨. 최근
증가하는 가계부채나 서울지역 중
심의 아파트 가격 상승에 따른 균
형있는 정책 고려 필요성, 제한적
통화정책 여력과 약화된 금리인
하 효과 등도 한은의 금리인하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임
.






캐피
탈이
코노
믹스







로버

홈즈








1.25










1










1










10월 금리인하 뒤 내년 초순까지
인하 기조. 한국 경제는 성장세
고전이 이어지고 소비자물가는 현
재 디플레이션에 빠짐. 올해 GDP
성장률은 1.8%를 보인 뒤 내년에
2.5%로 반등할 것. 당초 예상보다
확장적인 내년도 예산안이 편성
됐기 때문. 현재 소비자물가 부진
은 일시적인 것이지만, 디플레이
션은 여전한 위험 요소.

케이
티비
투자
증권



허정






1.5






1.25






1






완만한 속도의 기준금리 인하 전
망. 올해의 경우 경상수지 흑자
축소에 따른 달러/원 환율 안정,
무역협상 진행결과에 따른 연준의
정책 스탠스를 관망하며 인하 시
기를 늦출 것으로 예상.

키움
증권












안예













1.25













1













1













10월 기준금리 25bp 인하한 1.25%
전망. 한은의 성장률 전망치인 2
.2%를 하회할 가능성이 높으며,
성장 경로에 불확실성이 높다고
언급한 점을 감안할 때 25bp 인하
가능성 높아짐. 향후 정책 방향
성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신중
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1명의 금리 동결 주장이 있을 것
으로 예상함. 다만 경기 둔화 흐
름이 지속될 것을 감안할 때, 202
0년 초 추가 인하 예상.


하나
금융
투자


















이미




















1.25




















1




















1




















당사는 오는 10월 금통위에서 기
준금리를 25bp 인하할 것으로 예
상. 8월 금통위 이후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졌으며, 물가 또한 2
개월 연속 (-) 추세. 한은 총재
또한 목표 성장률 달성여부에 대
해 회의적인 견해를 나타낸 점을
고려할 때 금리인하 명분은 충분
하다는 판단. 미 연준, 7, 9월 금
리인하 이후 최근 서비스업 등 경
제지표 둔화로 선물시장에 반영된
10월 금리인하 기대 80%대로 상
승. 내년 추가 금리인하 기대도
유효해 대외적으로 완화적인 통화
정책 기조 이어질 전망. 4Q 국내
경기 부진, 글로벌 성장률 둔화
등 감안할 때 내년 1Q경 25bp 추
가인하 전망



하이
투자
증권







김상









1.25









1









1









무역협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10월 인하는 시장 예상대로 단행
될 전망. 경기 바닥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부양 기조는 지속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 또한 2%
성장 달성 의구심과 글로벌 중앙
은행의 완화 기조 지속도 한은의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예상


현대
차증

















오창


















1.25


















1


















0.75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
금리를 1.50%에서 1.25%로 0.25%p
인하 전망. 8월과 9월 소비자물
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마이너스(
-)를 기록한 가운데 수출증가율도
10개월 연속 전년대비 감소를 이
어감에 따라 경기부양을 위한 금
리인하 필요성. 현재 물가상승률
을 감안한 국내 실질 기준금리는
1% 후반을 기록하고 있으며, 전세
계적으로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
국, 브라질 등 일부 신흥국을 제
외할 경우 가장 높은 상황. 이에
따라 실질금리 부담을 감안할 때
내년 상반기까지 3회 가량의 추가
금리인하 필요성





syje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7시 4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