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중국의 경기둔화 경고음이 커지고 있지만, 과거와 달리 부양책을 동원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중국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여파에 직면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제조업 및 수요도 부진해 이전보다 더 광범위한 경기 둔화에 노출된 상태다.

내수 경기가 약화하면서 중국이 부양책을 확대할 수 있다는 기대가 꾸준히 나오지만 이번에는 '헛된 기대'라고 매체는 지적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잇달아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완화정책에 나서는 것과 달리 과거 수준의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재정 부양책에서도 중국은 추가적인 감세나 대규모 정부지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지 않다.

이처럼 부양책을 꺼리는 것은 중국 지도부가 경기 둔화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며 대규모 부채를 억제하겠다고 나선 때문이라고 매체는 분석했다.

유동성을 대규모로 투입해도 그 효과가 제한적이거나 단기적인 수준에 그칠 것으로 인민은행은 평가하고 있다.

중국 인더스트리얼은행의 루 정웨이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경기둔화 속도가 정책담당자들이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7월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중국의 성장률이 6.2%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에는 6.6%를 나타냈다.

루 이코노미스트는 "핵심 정책 기조는 성장률을 부양하는 것이라 경기 둔화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가 전반적으로 둔화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때처럼 대규모 실업이 발생하는 조짐은 거의 없는 것도 부양책이 뒷전으로 밀린 이유다.

전문가들은 노동 가능 인구가 감소한 데다 서비스업종이 제조업 부문에서 더 많은 노동력을 흡수한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중앙정치국은 지난 7월 회의에서 부동산 부양에 나서지 않겠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인민은행은 8월 대출금리 개혁을 통해 대출 기준금리를 인하했으나 모기지금리가 대출금리보다 낮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JP모건 에셋매니지먼트의 주 차오핑 이코노미스트는 "이는 중국 정책의 장기적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산 거품을 억제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의 정책 담당자들이 부동산이나 투자 의존도를 줄이고 기술이나 소비가 주도하는 경제로 구조조정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벌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sm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1시 2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