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김지연 기자 = 라임자산운용이 대규모 펀드 환매 중단을 선언하면서 판매사들에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모펀드는 운용·발행보다 판매 수수료가 높아 상품 선정 단계에서부터 판매사와 운용사가 모두 영향을 끼치는 셈이기 때문이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은행권과 증권사 간 사모펀드 판매 프로세스 자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은행권의 경우 금융시장 추이와 고객 수요 등을 반영해 은행 내부 전문가,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이 상품 제안을 하면 이를 투자상품 선정 협의체 등이 사전적으로 검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은행의 상품위원회는 각종 리스크와 수요조사, 결재 등을 거쳐 각자 기준에 따른 커트라인을 두고 있다.

평가점수 70점을 점긴 상품을 상품위원회 표결에 부쳐 과반 또는 70%의 찬성을 얻으면 확정한다.

DLF나 라임자산운용 펀드 등은 기초자산, 수익구조에서 은행들의 입장이 갈렸다.

상품위원회의 심의는 자산관리(WM) 부문의 상품을 전담한다.

고수익 상품이라도 은행이 내부적으로 만든 금융상품(특판예금 등)은 다양한 유관부서가 맡는다. 펀드 판매의 책임을 최고경영자(CEO)까지 지울지 여부는 앞으로 금융당국 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증권사에서는 고객에게 상품을 팔기 전 운용사에서 세일즈를 하면 펀드솔루션부 등의 실무 부서에서 상품을 선정, 상품전략위원회에 올린다.

상품전략위원회에서는 다수결로 의사결정이 이뤄지는데, 참석자 중 영업 담당자들이 많아 이들의 입김이 세게 작용하는 편으로 전해졌다.

프라이빗뱅커(PB)가 특정 사모펀드를 원하는 고객이 있을 경우 수소문해서 그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상품 심의 과정 자체는 금융사별로 크게 차이가 없어 운영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A증권사 등 일부 판매사에서는 환매 중단 발표가 나기 전부터 라임운용의 펀드 운용 방식이 너무 공격적이라 판단하고 올초부터 판매 규모를 줄이기도 했다.

상품위원회가 정상 작동하더라도 판매과정에서 나쁜 관행이 발견되면 판매사가 책임을 피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WM 상품판매에서는 투자자가 은행을 직접 방문해 자필로 서명하는 것이 원칙인데 고객의 편의를 돕는다는 이유로 은행 외 상담, 대리인 서명 등이 이뤄지는 현실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펀드에 담긴 자산을 일일이 까보지 않더라도 지금 같은 저금리에 펀드 수익률이 5%를 넘어가면 그건 무조건 위험한 자산에 투자했다는 이야기"라며 "자체적으로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 올 초부터 판매량을 줄여가고 있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제대로 검증도 없이 고객에게 상품을 팔고 나중에 나 몰라라 하는 것은 금융인의 기본이 안 된 것"이라며 "지금까지 연이은 사고로 고객들의 신뢰를 잃었지만, 지금이라도 상품 판매 프로세스에 문제가 없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은행에서 펀드를 팔게 해준 것이 처음에 공모펀드 활성화하기 위함이었는데, 오히려 은행에서 사모펀드를 더 많이 팔았다"며 "은행은 증권사보다 위험상품을 판매해본 역사가 짧기 때문에 상품 선정과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jhlee2@yna.co.kr

jyk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