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최정우 기자 = 라임자산운용이 자사 펀드에 대해 환매 중단을 하게 된 이유로 증권사의 레버리지 환수를 꼽으면서 사모펀드 레버리지 제도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16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사모펀드는 증권사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를 통해 400%까지 레버리지 차입이 가능하다.

지난 9월 말 기준 라임운용 펀드에 대해 PBS를 하는 증권사는 총 5곳이다.

PBS 사업을 영위하는 6개 증권사 중 NH투자증권만 제외하고 모든 증권사가 라임자산운용과 PBS 거래를 하는 셈이다.

가장 많은 펀드에 대해 서비스를 진행 중인 곳은 신한금융투자로 라임자산운용 22개 펀드를 담당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삼성증권이 16개, 한국투자증권이 6개, KB증권이 5개, 미래에셋대우가 4개의 펀드를 맡았다.

PBS는 증권사가 헤지펀드 운용사에 대해 헤지펀드 운용에 필요한 대출, 증권 대여, 자문, 리서치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서다.

신용제공과 증권 대차거래, 컨설팅 서비스 등이 PBS의 주요 업무로, 라임운용에 대해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으로 레버리지 대출이 진행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라임운용은 정작 필요할 때는 이 레버리지를 사용할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전통적인 TRS 외에도 헤지펀드가 레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종필 라임운용 부사장은 "유동성이 힘든 상황에서 가장 레버리지가 필요함에도 누구도 우리를 도와주지 않았다"며 "가장 필요할 때 레버리지를 못 쓰게 된다면 이게 레버리지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사모펀드 레버리지 문제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해외 운용사 같은 경우 펀드 자체의 레버리지 금리 낮게 쓸 수 있고 헤지펀드 맘껏 이용해서 레버리지 쓸 수 있는 방법이 많다"며 "국내는 전통적인 방법이지만 TRS만 쓰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런 부분이 제도적으로 마련되면 해외 헤지펀드처럼 우리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라임운용이 애초 금융당국의 수사를 받게 된 이유 중 하나도 이 TRS 거래가 보유 한도 규제를 피하기 위해 실제 파킹(위탁보관) 목적으로 행해졌을 것이란 의혹 등이 제기된 탓이다.

운용업게에서는 라임운용의 지적에 대해 사모펀드의 레버리지 수단을 다양화하는 것이 시장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했다.

그러나 PBS의 존재 이유 자체가 사모펀드에 레버리지를 해주라는 것으로, 이번 라임운용 사태에서 제도 자체가 큰 문제가 됐다고 보지는 않았다.

한 사모펀드 운용사 대표는 "운용사가 어렵다기보다 수탁은행에서 관리하는 기초자산(underlying asset)이 흔들리면 PBS에서 레버리지를 안 해줄 것"이라며 "이것은 PBS의 판단으로, 제도 자체의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레버리지가 자본시장을 활성화하는 부분은 맞지만, 이번 라임운용 사건은 제도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한 상품이 과도하게 듀레이션 미스매치가 돼서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팔려나갔기 때문으로, 시장에서 거래의 한계가 있는데 그걸 넘어간 게 문제"라고 덧붙였다.

운용업계 다른 관계자도 "PBS 설립 취지 자체가 사모펀드에 대한 대주 등을 해주라는 것이기 때문에, PBS 외에는 사모펀드가 레버리지를 일으킬 다른 방법은 없을 것"이라며 "해외에서도 이런 역할은 대부분 PBS가 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 국내나 해외나 상황은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jykim@yna.co.kr

jwchoi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