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예산정책처 보고서



(서울=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가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비교해 식품 물가의 변동성이 크고 근원물가가 둔화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국회예산정책처(NABO)가 23일 발표한 'OECD 국가와 비교한 국내 소비자물가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올해 1~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5%로 OECD 국가 중 포르투갈(0.4%)과 그리스(0.4%)를 제외하면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둔화한 요인으로 농산물을 포함한 식품 물가 상승률 둔화, 에너지물가 하락,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 등을 꼽았다.

아울러 최근 OECD 국가들에 비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크게 둔화하고 있는 만큼 이를 품목별로 비교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의 특성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2000~2018년 국내 에너지물가 연평균 상승률은 2.6%로 OECD 평균인 4.4%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OECD 국가 중에서 일본(1.6%)을 빼면 최저치다.

보고서는 "전기, 가스, 수도 가격은 물가 안정 등을 이유로 정부가 요금 인상을 규제하면서 상승이 억제돼왔다"며 "정유산업이 시장 자유화와 수출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석유제품 가격 상승률도 주요국보다 낮다"고 했다.

식품 물가의 경우 2000~2018년 연평균 3.8% 상승하며 OECD 평균(2.5%)은 물론 유로 지역(1.9%)과 G7(1.8%) 등 주요국의 상승률을 웃돌았다.

식품 물가 상승률이 유독 높은 것은 대내외 공급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변동성이 큰 국내 농산물 가격의 영향뿐 아니라 낮은 곡물 자급률로 국제 곡물 가격의 영향도 크게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000~2018년 상승률이 2.3%로 OECD 평균(2.1%)을 상회했다. 다만, 2016년 하반기부터 둔화세를 보이기 시작해 올해 8월에는 0.8%까지 떨어졌다.

국내총생산(GDP) 갭이 마이너스를 나타내면서 수요측 물가 상승압력이 낮아지고, 정부 정책 등으로 서비스 가격 상승세가 둔화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의 특징 중 하나인 식품 가격 변동성은 물가 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또 수요 부진에 따른 근원물가 둔화세는 내수 위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현희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물가 불안을 초래할 수 있는 식품 가격의 높은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가격 안정성을 확보할 수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정책당국은 수요진작책을 마련해 저물가 상황이 경기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방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5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