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6일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으로 그대로 뒀다.

S&P는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서는 "여타 고소득국가보다 견조하고,한국 경제는 특정 산업이나 수출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다각화됐다"면서 "한국의 1인당 평균 국내총생산(GDP)은 올해 3만1천800달러에서 2022년 3만5천달러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1인당 실질 GDP 성장률 추세치 전망(Trend rate)은 2.2%로 유사 고소득국가와 대비해서 높은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세계ㆍ역내 교역 여건이 부진하면서 수출 증가율은 올해 들어 부진했고, 최근 한일 무역갈등은 불확실성 확대, 투자심리 제약 요소라고 꼽았다.

단기적으로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은 2% 내외로 둔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대외경쟁력ㆍ견조한 성장세 유지를 위해 생산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S&P는 "지난 2000년 이후 대부분 통합재정수지 흑자를 기록했다"면서 "문재인 정권 임기 동안 점진적으로 그 규모가 감소할 것이지만, 적자로 전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비금융공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가능성은 재정 건전성의 제약 요인이며 한국 신용도의 가장 큰 취약점은 북한 정권 붕괴 시 부담해야 할 통일비용 등 우발적 채무라고 평가했다.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S&P는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목표제를 통해 경제안정과 기대인플레이션 관리에 성공해왔으며, 중앙은행의 독립적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됐다"고 했다.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는 통화정책의 제약요인이지만,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분할상환' 전환 노력으로 리스크가 완화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도입으로 부채 증가속도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외건전성 관련해서는 "국내 은행 부문이 순대외채권자로 전환했고, 은행권 총외채 평균 만기 증가, 경상지급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도 감소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외환시장의 깊이와 환율 유연성이 한국경제의 강력한 대외 완충재(Buffer)로 작용하고 있으며, 경상수지 흑자도 지속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S&P는 한국은 원만한 정권교체를 하는 등 민주적 정치제도가 정치적 안정성을 반영하고, 주요 경제정책의 예측 가능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봤다.

S&P는 "제도적 강점은 남북갈등에 따른 부정적 영향 관리와 지속가능한 공공재정 및 균형 잡힌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잠재적 안보위협은 우리의 제도적 강점의 제약 요인이나, 북한이 상당 수준 경제 자유화로 진전 시 지정학적 위험도 감소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S&P는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험이 국가 신용등급의 상향, 하향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했다.

북한 관련 안보ㆍ우발채무 위험이 감소하면 신용등급이 오르고, 반대로 위험이 고조돼 재정ㆍ대외 부문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9시 4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