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100만원 이상 금액을 3개월 이상 연체하고 있는 금융채무 연체자가 은행에서만 작년보다 29% 늘어난 5만946명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선동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으로 은행을 포함해 여신·저축·상호금융 등 제1, 제2금융권 연체자 수는 전년 대비 7.6%가 증가한 26만6천59명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17년 21만1천326명에서 지난해 24만7천171명, 올해 26만6천59명으로 최근 3년간 25.9% 증가했다.





은행권에서 연체자 규모가 28.8% 증가했지만, 이들이 받을 수 있는 정책자금 혜택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높고 월간 소득수준이 일정한 중산층이 은행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서민금융진흥원의 정책자금 지원대상은 소득 기준 3천500만원 이하 또는 신용등급 6등급 이하면서 연간 소득 4천500만원 이하다.

은행 외에 여신전문, 상호금융권도 지난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연체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 대비 올해 연체자 수가 7.9% 감소했다. 지난해 2월 법정 최고금리를 27.9%에서 24%로 인하함에 따라 저축은행 대출 심사를 까다롭게 진행하면서 저신용자들이 대거 탈락하면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저축은행 상위 20개사의 2017년 상반기 대비 2018년 상반기 신규 신용대출자 중 저신용자 대출자 수는 20.5% 하락하면서 1만8천명 감소했다.

지역별로 금융채무 연체자 비율이 2014년 이후 올해 9월까지 누적 기준으로 경기 23.3%, 서울 18.5%, 인천 6.2% 등으로 연체자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왔다.

같은 시기 연령별로는 40대 연체자가 31.6%, 30대가 24.1%, 50대가 23.8% 순으로 나타났다.

연체 잔액의 경우 2014년 이후 누적 기준 38조4천671억원으로 연평균 6조4천112억원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 대비 올해 연체 잔액은 30.9%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이 53.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신협, 농협, 수협 및 산림조합 이용자의 연체액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동 의원은 "신용등급이 높고, 소득이 일정한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제1금융권의 연체 증가는 경제불황 여파로 중산층조차도 흔들리고 있다는 중요한 지표다"며 "금융채무 연체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정책금융 지원체계의 사각지대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jhson1@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5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