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내년 세계 경제가 3.2%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흐름을 타고 내년 한국 경제도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KIEP는 11일 "2020년 세계 경제 전망'에서 올해와 내년도의 세계 경제 성장률을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으로 각각 2.9%와 3.2%로 추정했다.





내년 2020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가 배럴당 50.7달러이고, 미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가운데 다른 주요국 통화정책의 변화가 완만하다는 가정으로 작성된 수치다. 중국은 정부의 경제성장률 목표치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한다고 가정했다.

KIEP는 경제성장의 리스크 요인으로 정책 불확실성 지속하고 있다면서 세부적으로 보호무역주의, 확장적 거시정책의 지속적 이행 여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지정학적 긴장을 꼽았다.

안성배 국제거시금융실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내년 성장률에 묻는 말에 "한국경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세계 경제성장률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히 크다"면서 "(한국의) 상장률은 반등, 올해보다 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대외경제 분석에 주력하는 KIEP인 만큼 구체적인 숫자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분쟁이 장기화하고,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경기부양 효과 감소 등 하방요인으로 올해보다 0.3%포인트 낮은 2.0%의 성장률을 전망했다.

유로 지역과 영국은 독일 경기 둔화의 장기화,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 브렉시트 불확실성 등 하방 요인이 작용하면서 각각 1.1%와 1.0%로 봤다. 거의 비슷하다.

일본은 소비세율 인상과 미ㆍ중 무역 분쟁 관련 불확실성,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등 하방 요인이 작용하면서 올해보다 0.3%포인트 떨어진 0.4%로 예상했다.

중국도 미ㆍ중 무역협정 관련 불확실성과 자국 내 기업의 디폴트 증가, 홍콩 시위의 장기화 등의 하방 요인으로 올해보다 0.2%포인트 내려간 6.0%로 봤다.

다만, 6.0%의 전망치가 너무 높은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양평섭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은 "6.0% 밑으로 내려갈 때 (중국에서 느끼는) 사회 심리적인 불안감이 있기 때문에 정부는 내수 부양정책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운을 띄웠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가 금리와 지급준비율 인하도 추진하고 있고 유지하려는 정책적 의지를 보일 것"이라며 "미국과 무역 분쟁의 부분적 타결도 있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홍콩 문제라든가 미ㆍ중 무역 분쟁이 심화하면 6.0% 유지에는 상당히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가능성을 열었다.

인도는 최근 세제개편, 자동차 산업 지원, 금융 부문 유동성 지원, 외국인 직접투자 규제 완화 등으로 올해보다 0.5%포인트 상승한 6.2%로 추정했다.

KIEP가 자체적으로 대외경제 전문가 60명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내년 세계 경제가 2.9%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봤다. KIEP 전망치보다 0.3%포인트 낮다.

세계 경제성장률로 3.0%가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2.7%(9명), 2.8%(8명), 2.5%(8명), 3.1%(7명) 순이었다.

전망치에 대해 중간 정도의 확신을 보인 응답자 38명의 전망 평균은 2.8%였다. '불확신' 응답자 17명의 평균은 3.0%, '확신'이라고 답한 4명의 응답자는 2.9%였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60%는 미ㆍ중 통상분쟁을 내년 세계 경제의 가장 큰 하방 요인으로 평가했다. 이들은 중국에서 부채 문제와 버블 붕괴 등을 성장이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으며, 미국에서는 대선의 불확실성과 소비ㆍ투자 감소에 따른 경기 둔화 가능성을 지적했다.

KIEP는 일본의 수출규제가 내년도 하반기께 완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재영 KIEP 원장은 "내년에 당장 지금 문제가 풀리지 않겠지만 물밑에서 활발하게 이야기가 진행되는 거 같다"면서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한 번 더 기회가 생길 수 있고, 9월 가을 정도에 일본 선거가 있고, 정부와 정책변화도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정성춘 일본경제실장은 "일본이 한국에 대한 규제 품목은 그렇게 무역 규모가 큰 것도 아니다"면서 "일본 수출규제가 내년에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판단하고 있다"고 했다.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