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매파와 비둘기파 금융통화위원들이 물가를 보는 관점에서 차이를 노출하면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내 대립각이 표면화하는 모습이다.

어떤 물가 지표를 적용하는지에 따라 실질 기준금리 수준에 대한 금통위원들의 판단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금통위 내 의견 대립은 향후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을 강화하는 요인이다.

15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금통위 내 대표적인 비둘기파인 조동철 금통위원은 지난 8일 한국금융연구센터 토론회에서 한국의 실질 기준금리가 터키와 멕시코를 제외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말했다.

시장참가자들은 조 위원이 올해 누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적용해 이 같은 발언을 내놓은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1~10월 전년대비 물가 상승률은 0.4%로, 이를 명목 기준금리 1.25%에서 제외하면 0.85%의 실질 기준금리가 도출된다.

OECD 회원국 가운데 미국의 최근 12개월(작년 10월~올해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1.8%고, 기준금리는 1.50~1.75%다. 실질 기준금리를 구하면 마이너스(-)0.3~-0.05%로, 조 위원의 말처럼 한국의 실질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높다는 결과가 나온다.

반면 매파 금통위원들은 다른 물가지표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 10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기준금리 동결을 주장한 한 금통위원은 "국내물가가 낮은 수준을 이어가고는 있으나, 관리물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대 초반을, 그리고 경기민감물가지수는 1%대 초중반을 나타내고 있어 글로벌 물가추세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은행이 추정한 관리물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1.1%를 나타냈고, 3분기에는 1.3%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구한 실질 기준금리는 각각 0.15%와 -0.05%다. 소비자물가를 대입했을 경우보다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크게 완화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지난 7월 금통위에서 단독 동결 소수의견으로 의견을 밝힌 이일형 위원은 기대인플레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위원은 "금융불균형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저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약화되고 있는 기대인플레이션"이라고 말했다.

가장 최근의 조사에서 나온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7%로, 이를 적용한 실질 기준금리는 -0.45%다.

박석길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공개 자료를 토대로 "이일형 위원은 서베이 지표(기대 인플레이션)를, 조동철 위원은 최근 평균 헤드라인 인플레이션(누계 소비자물가)을 추세로 보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질 기준금리를 구하기 위해 어떤 물가지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완화적인지, 긴축적인지 여부에 대해 정반대의 해석이 가능한 셈이다.

금통위 내 의견 대립은 기준금리 동결 전망으로 이어진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임지원 위원의 (10월) 소수의견이 나오고 나서 포워드 가이던스가 중립적으로 변했다고 본다"며 "아직까지 내년 중 기준금리 동결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기준금리 인상과 인하 리스크를 본다면 내년 하반기 인하 리스크가 더 크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상승률실질 기준금리(기준금리-물가)
소비자물가0.4%(1~10월)0.85%
관리물가 제외 근원물가1.1%(9월) 0.15%
기대인플레이션1.7%(10월)-0.45%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1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