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금융감독당국이 내놓은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규제가 은행, 증권 업계를 넘어 서울채권시장까지 뒤흔들고 있다.

특히, 채권시장의 주요 매수처였던 상품운용북 규모의 대폭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지면서 채권 수요기반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진단이 나온다.

18일 금융업계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주 원금손실위험이 20~30% 이상인 상품의 은행 신탁 판매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고위험 금융상품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한 종합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올해 6월 말 기준 원금 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 판매 잔액은 약 75조원 규모다. 원금 보장형과 원금 부분보장형 등을 포함하면 해당 시장이 100조원 가까운 규모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파생결합상품이 판매되면 고객이 예치한 금액은 증권사의 상품 원금 운용부서와 헤지 부서에서 운용된다. 원금 북과 헤지 북 운용 비율은 회사별로 다르다.

상품 원금을 운용하는 부서는 다른 채권운용부서보다 좀 더 공격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국공채뿐 아니라 크레디트 채권까지도 담을 수 있다.

채권시장에서 ELS 원금 북 등 상품운용부서는 크레디트 스프레드가 확대되거나 채권 투자심리가 악화하면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를 때에도 절대금리를 추구하면서 채권을 담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투자주체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규제로 사모펀드시장이 쪼그라들게 되면서 채권의 주 투자처 중 하나인 상품운용 북의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채권시장 수요 기반이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다.

그렇지 않아도 제2 안심전환대출 시행에 따른 주택저당증권(MBS) 발행과 내년도 국고채 발행물량 증가 등으로 채권 공급 우려가 큰 가운데 채권 매수 기반이 줄어들면서 수급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 채권업계 관계자는 "ELS 원금 북에서 다룰 수 있는 채권의 양과 종류가 다양한데, DLF 규제로 채권 수요처 중 하나의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면서 "상황을 좀 더 봐야겠지만 여러 이슈와 맞물리며 금리 상승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2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