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홍경표 기자 = 국민연금이 아시아 해외사무소로 홍콩 대신 싱가포르를 선택한 이유에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홍콩도 아시아의 글로벌 금융허브이기는 하지만, 중국에 속해 있어 정치 리스크와 자본 규제 우려 등으로 싱가포르로 해외사무소를 고른 것이 현재 홍콩 상황을 비춰봤을 때 '선견지명'이 됐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현재 뉴욕과 런던, 싱가포르에 해외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투자 다각화와 수익률 제고를 위해 해외투자를 2024년까지 전체 기금 포트폴리오의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을 세웠다.

이에 국민연금은 해외사무소 기능을 강화해 본격적으로 해외투자 '첨병' 역할을 맡기고 있다. 해외사무소에서 해외 금융시장과의 접촉면을 늘리고 빠르고 정확한 글로벌 시장 정보를 확보 중이다.

국민연금은 해외사무소에서 해외채권 직접 거래를 진행하고, 해외사무소가 부동산이나 인프라 등 직접 조달한 투자 건을 투자위원회에 상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재량권도 확대했다.

국민연금은 2011년 미국 뉴욕, 2012년 영국 런던에 해외사무소를 열었는데, 아세안·호주 및 중국 등 신흥 시장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해외사무소가 필수적이었다.

국민연금은 2015년 홍콩과 상하이, 싱가포르 등을 후보군으로 올려놓고 아시아 해외사무소로 가장 적합한 장소를 저울질했다.

국민연금은 금융시장 상황과 투자확대 가능성, 리서치·네트워킹 등 투자지원 여건, 업무 환경 및 금융정책·규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홍콩의 경우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서 국민연금 아시아 해외사무소 유력 후보 중 하나로 검토됐으나, 중국 영토인 것이 걸림돌이 됐다.

중국은 사회주의를 근간으로 시장경제를 받아들이고 있는데, 홍콩이 '일국양제'하에서 자치권을 확보했다고 하나 여전히 중국의 입김이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연금은 홍콩이 자본 규제 가능성과 금융 정책 불확실성이 싱가포르보다 크고, 글로벌 정세에 따른 정치 리스크도 상존한다고 판단해 결국 싱가포르에 2015년 해외사무소를 개소했다.

현재 홍콩은 중국의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으로 촉발된 민주화 시위로 홍역을 앓고 있고, 중국 중앙 정부가 사태에 개입할 것을 시사하는 등 긴장 격화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다. 자본과 기업, 인력의 '탈홍콩'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국민연금이 싱가포르에 해외사무소를 개소한 것이 옳은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기금 관계자는 "국민연금이 아시아 사무소 후보지로 홍콩과 싱가포르 등을 고려했는데, 정치 리스크와 규제 가능성이 아시아 사무소 최종 선택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kph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2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