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서명했지만 국내 채권시장은 별다른 반응을 나타내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인권법 서명에도 미·중이 무역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또 당장 내일로 다가온 금융통화위원회에 대한 경계 심리도 시장에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국내 채권시장 개장 전 외신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인권을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홍콩 인권 및 민주주의 법안(홍콩인권법)'에 서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인권법 서명은 미·중 무역협상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 여겨지지만 국채선물은 오전장 잠시 상승했다가 다시 보합세로 돌아온 것 외에 별다른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중국 외교부는 인권법 서명 뒤 미국이 패권 행위로 내정에 간섭하려 한다며 이를 강력히 비난했지만 시장은 여전히 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인권법 통과가 미·중 무역협상을 결렬시키는 수준의 재료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무역협상의 쟁점은 경제와 무역"이라며 "홍콩 사태가 (협상 결렬의) 핑계가 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권법 통과도 미국이 보내는 경고 신호 정도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최우선 국립외교원 교수는 "중국으로서는 인권법에 신경이 쓰이겠지만 홍콩 사태가 통제 불능에 빠지기 전까지는 무역 협상을 보이콧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당장 다음날로 다가온 금통위에 대한 경계심리도 관망세를 키우는 요인이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홍콩인권법 서명은 예상했던 재료지만 금통위는 현실"이라며 "금통위에서 만장일치 금리 동결이 나오면 손실이 날 수 있기 때문에 매수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인권법의 영향이 제한된데는 최근 홍콩 시위사태가 다소 소강국면으로 접어든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홍콩에서는 가장 격렬한 시위 현장이었던 이공대의 봉쇄 상황이 마무리되고, 홍콩 도심에서 점심시간을 이용해 벌어졌던 '점심 시위'도 시들해지는 분위기다.

중국 정부가 홍콩사태를 통제할수 있다고 판단한다면 홍콩보다 무역 협상에 더 집중할 가능성이 있다.

최우선 교수는 "통제 불능 상황이면 중국도 돌아볼 것이 없다"며 "무역협상이든 다른 어떤 이슈이든 뒤로 미루고 홍콩에 집중할텐데 현재는 그정도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중국의 우선순위가 무역협상에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3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