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1~11월 누계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4%에 불과했다.

통계청은 현 추세를 고려할 때 12월에도 지난달과 비슷하거나 살짝 높은 상승률이 나타날 가능성을 보고 있다. 이 경우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 높아야 0.5%가 유력해 보인다.

기획재정부도 "연말에는 0%대 중반대로 회복할 전망"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이 경우 1965년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고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금까지는 지난 2015년의 0.7%가 최저치였다. 아울러 역대 세 번째로 0%대의 상승률이 나타나는 셈이다.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수준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에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는 모두 평균 1%대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나타냈다.

정부는 농수산물과 석유류가 낮은 공급 측을 주된 이유로 들어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점을 꼽는다. 실제로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농산물은 9월 -13.8%, 10월 -7.5%, 11월 -5.8%로 마이너스(-)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석유류도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9월 77.2달러에서 61.1달러, 10월 79.4달러에서 59.4달러, 11월 65.6달러에서 61.9달러로 내려갔다. 여기에 무상급식, 무상교육 등이 확대된 것도 이유로 든다.

그러나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표만 보면 이야기가 다르다.

OECD 기준에 따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의 상승 폭은 1~11월 누계로 0.7%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같은 기간 기준으로 1999년 이후 가장 낮다. 1999년은 연간으로 -0.2%를 기록한 시기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디플레이션은 통상적으로 물가 하락이 자기실현적 경로로 상품 및 서비스 전반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물가 변동이 경제활동의 최종 결과라는 측면에서 실물경기의 장기 침체, 자산ㆍ금융시장의 불안 등도 포괄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소비부진→기업 수익성 부진→투자ㆍ생산 축소→고용 감소→소비부진'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경제 부진과 경기 악화를 소비자 물가가 상당히 반영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면서 "디플레이션이 진행 중이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면서 "디플레이션 또는 장기 저물가를 의미하는 디스인플레이션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정책을 짜야 할 때"라면서 "내년에도 기조적으로 낮은 수준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3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