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의 이동 기회가 갈수록 적어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복지패널조사의 2007~2017년 데이터를 사용해 2년 동안의 가구 계층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 2007~2009년 73.2%였던 정체 가구 비중이 2015~2017년에는 75.5%로 상승했다.

1년 동안의 계층 이동성은 같은 기간 75.7%에서 80.8%로, 3년 동안의 계층 이동성은 70.7%에서 73.4%로 확대되면서 정체 가구 비중이 늘었다.

계층 이동성이란 가구를 상위층, 중산층, 하위층으로 분류해 계층 간 이동이 일어나는 빈도를 분석한 것이다.

한경연은 가구의 가처분소득을 바탕으로 중산층 비율을 추정한 결과 2017년 기준 남성 가구주의 중산층 비율이 60.6%로 여성 가구주(53.8%)보다 높았다고 분서했다.

대학원 졸업 이상 학력의 가구주에서는 중산층 비율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산층보다 상위층에 속하는 비중이 더 높기 때문이었다.

가구주 아버지의 학력수준별 중산층 비율은 2007년 아버지가 고졸인 경우 55.2%, 대졸 39.4%였지만 2017년에는 아버지가 고졸인 경우 62.1%, 대졸인 경우 55.9%로 아버지의 학력이 자녀세대에 미치는 영향력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의 취업형태별로 살펴본 중산층의 비율은 가구주가 무직인 경우 48.0%로 가장 낮았다.

임시직은 중산층 비율이 7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용직은 상류층의 비율이 높았다.

가구 내에서 취업자 수에 따라 중산층 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취업자 수가 0명일 경우 중산층 비율이 40.2%로 가장 낮았다.

취업자 수가 한 명이라도 있으면 중산층 비율은 이보다 높았다.

가구주가 상용직이면 중산층에 속할 확률이 40%포인트(P) 올랐다.

반면 임시직일 경우는 20%P, 자영업자일 경우 14%P 증가하는 데 그쳤다.

또 가구주 외에 취업자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중산층에 속하게 될 확률이 20~21%P 높았다.

한경연은 하위층에서 중산층으로의 상향 계층이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일자리라며, 중산층의 안정적 유지 및 확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일자리 및 취업기회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유진성 한경연 국가비전연구실장은 "비정규직 규제 완화, 정규직 고용보호 완화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근무시간 유연화를 통해 가구원들이 노동시장에 접근할 기회를 확대해 가구소득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