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한국의 경기지표가 2017년 이후 하강하고 있고 올해 상반기 성장지표 역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GDP 디플레이터(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 상승률이 -0.6%로 OECD 36개국 중 가장 낮았다고 12일 밝혔다.

경기국면 판단을 위해 재고와 출하 증가율을 그림으로 나타낸 재고출하 순환도로 본 한국 경기도 2017년 수축 국면으로 접어든 후 올해까지 3년째 하강하고 있다고 밝혔다.

동행종합지수에서 추세를 제거한 동행지수순환변동치 역시 2017년 이후 경기가 가파르게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산업생산의 전년 동기 대비 감소율은 OECD 31국 중 다섯 번째였다.

올해 1∼3분기 상품수출 감소율은 34개국 중 노르웨이에 이어 2번째, 올해 상반기 고정투자 감소율은 터키, 아이슬란드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구조적 안정성 관련 지표인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올해 1분기 0.2%포인트(p) 올라 OECD 30개국 중 8번째로 상승 폭이 컸다.

고용지표의 경우 지난해 기준 실제실업률과 자연실업률과의 갭률은 OECD 33개국 중 그리스와 이탈리아에 이어 3번째로, 올해 상반기 전년동기 대비 실업률 상승속도는 터키, 아이슬란드, 멕시코에 이어 4번째로 높았다.

한경연은 최근 실업률갭 추세를 알아보기 위해 분기별 실업률 갭을 추정한 결과 실업률갭은 지난해 2분기 0.3% 수준으로 상승한 후 0.3%∼0.4%의 높은 수준을 이어가면서 경기하강 압력이 커졌음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경연은 이처럼 경기가 2∼3년간 하강세인 가운데 고용과 생산, 수출, 투자지표가 OECD 바닥권에 그치고 실업률갭이 상승하는 등 전반적인 경제상황이 우려스러운 모습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가계부채비율 상승 폭이 커지고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심화하는 등 중장기적으로 우리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구조적 문제들이 지속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경기하강세가 성장잠재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투자세액 공제확대를 통한 설비투자, 연구·개발(R&D)투자 촉진이 필요하다"며 "자동차 등 내구소비재에 대한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 진작책마련도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 실장은 또 "고용시장의 유연성을 저해하는 경직적인 노동규제와 창의적 활동을 제약하는 각종 규제를 풀어 민간 경제의욕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