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2019 정기 신용위험평가 발표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올해 210개 기업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과 회생절차 등의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210개 기업을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20개 늘어난 수준이다.

대기업은 9개로 지난해보다 1개 줄었다. 조선과 해운 등 주요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반면 중소기업은 201개로 21개나 늘었다. 실적이 하락하며 세부평가대상 기업 수가 전년보다 387개사나 급증해 부실징후기업도 늘었다.





신용위험평가는 기업의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거나 자본이 잠식된 경우를 대상으로 세부평가를 한다.

평가대상 기업은 결과에 따라 A∼D등급을 받는데, 통상 C등급은 워크아웃 절차를 진행하고 D등급은 사실상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어 법정관리에 들어간다.

이번에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210개 기업은 기계장비 업종이 35개사로 가장 많았다. 전반적인 업황 부진으로 지난해보다 15개나 급증했다.

그밖에 부동산(19개)과 자동차부품(17개), 금속가공(17개), 도매·상품중개(14개)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조선과 금속가공, 철강 등은 지난해보다 줄었다.





이들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에 1조1천억원, 중소기업에 2조2천억원이 공급됐다.

이중 은행의 공급 규모는 2조4천억원(72.7%)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들 기업에 대한 자산 건전성을 재분류할 경우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1천735억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손실흡수 능력을 고려하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금감원은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으로 하락할 국내은행의 BIS비율이 1bp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으로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신속한 경영정상화와 부실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지만 워크아웃 등 관리절차를 신청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일시적인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에 대해서도 긴급 유동성 지원과 경영 컨설팅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