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예원 손지현 기자 = 비금융데이터를 결합한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기반으로 중금리대출 시장을 치고 나가던 케이뱅크가 반년 째 공회전을 거듭하는 모양새다.

약 7천억원 상당에 이르던 중금리대출 공급이 중단되면서 포용금융도 멀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가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슬림K신용대출'은 지난 6월 이후 반년 넘게 판매가 중단된 상태다.

슬림K신용대출은 최대 5천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한 케이뱅크의 대표적인 중금리대출 상품으로, 주주사인 KT와의 협업을 통해 기존 금융거래정보에 통신정보를 결합한 CSS를 기반으로 한다.

케이뱅크는 자체 CSS를 통해 기존 금융거래 정보만으로는 대출이 어려웠던 이른바 신 파일러(Thin filer·금융이력부족자)의 신용평가 시, 금융거래 정보와 함께 요금제나 통신요금 연체이력, 로밍 여부 등 통신 정보를 반영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중금리대출 시장에서의 실적도 긍정적이었다.

케이뱅크는 '슬림K신용대출' 상품을 중심으로 지난해 말까지 중금리대출 약 7천600억원가량을 공급했다. 또 금리 구간별 취급 비중을 살펴보면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농협·기업·케이뱅크·카카오뱅크 등 8개 주요 은행 중 6~10%의 중금리 구간 대출을 취급한 비중이 가장 높기도 했다.

케이뱅크 대출을 이용한 고객이 한 달 내에 기존에 보유한 제2금융권 대출을 줄인 규모도 지난해 8월 말까지 약 910억원가량으로 추산되고 있다.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권의 고금리 대출로 내몰리는 중신용자에게 낮은 대출금리를 제공한다는 인터넷전문은행 도입 취지에 부합한 셈이다.

그러나 자본 확충이 어려워지자 해당 대출 판매도 중단되면서 포용 금융에 적극적으로 나서기가 어려워진 상황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7월 276억원의 브릿지 증자를 한 이후 추가 증자를 하지 못하고 있다. KT의 공정거래법 위반 전력을 인터넷전문은행 대주주 적격성 심사시에 제외하도록 한 인터넷전문은행법 개정안도 국회에 표류하면서 KT를 통한 대규모 증자길도 당장은 막히게 됐다.

이런 가운데 시중은행들도 중금리대출을 타깃으로 통신정보를 활용한 상품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7월 통신사 거래정보를 활용한 '우리 비상금 대출'을 출시했다. 현재 최저 대출금리는 4.25% 수준이다. 농협은행도 지난달 통신정보를 활용한 '올원 비상금대출'을 선보였다. 현재 최저 대출금리는 3.6% 수준이다.

우리은행은 케이뱅크와 유사하게 기존 여신심사 모형에 CB등급과 통신정보 등 비금융정보를 반영해 대출 심사시 활용하고 있다. 농협은행의 경우 금융소비자의 통신정보를 기반으로 신용평가사(CB사)가 산출한 통신등급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시도는 핀테크 업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핀크는 지난해 금융위원회로부터 통신료 납부정보를 활용한 신용평가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지난해 11월 '티(T)스코어'를 개발했다. 22가지 통신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통신점수가 일정 이상이면 제휴 은행에서 대출 시 최대 1%의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핀크는 현재 광주은행, 스마트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OK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씨티은행 등 6개 금융기관과 제휴를 맺고 있다.

다만 시중은행들이 내놓은 통신정보 기반 비상금 대출의 한도는 300만원 정도로, 최대 5천만원 한도인 케이뱅크 상품과 비교하면 중금리대출 취급 규모가 크게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통신사 정보 등 최소한의 신용정보 등으로 대출을 하다 보니 한도를 높게 제공하기 어렵다"며 "기존 은행권에서 대출 대상이 아니었던 중신용자 고객에 대해 대출 기회를 열어준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ywkim2@yna.co.kr

jhson1@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1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