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한국은행이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실질 금리가 꾸준히 하락해 1995년부터 2018년 기간 동안 약 3%포인트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권오익 한은 금융통화연구실 부연구위원은 13일 '인구 고령화가 실질 금리에 미치는 영향(BOK경제연구)'을 통해 "1990년대 중반부터 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됐으며 실질 금리도 꾸준히 하락했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권 부연구위원은 "다른 한편으로는 인구 고령화가 저축률이 낮은 노령 인구수를 늘려 저축을 감소시키는 등 실질 금리 상승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으나 이번 분석 결과에서는 하락 요인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생애주기모형(life-cycle model)을 이용해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소비가 감소하고 저축이 증가하면서 실질 금리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명목 금리에서 소비자물가지수(CPI) 인플레이션율을 뺀 실제 실질 금리는 1995년 약 9.0%에서 2018년 약 0.4%로 하락했다.

조사 기간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화돼 기대 수명은 1990년대 중반 70세 초중반에서 2018년 80세 초중반까지 늘어났다.

인구 고령화란 인구 증가율 하락, 기대수명 증가 등의 요인으로 노령 인구 부양 비율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UN 자료에 따르면 20~64세 인구 대비 65세 이상인 인구 비율인 노령인구 부양 비율은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상승했다.

한편 인구 고령화가 실질 금리 하락에 미친 영향을 인구 증가율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 두 가지로 분해해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기대 수명 증가가 실질 금리 하락에 미친 영향이 인구 증가율 감소에 따른 영향보다 두 배 정도 컸다고 권 부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이는 인구 증가율 감소가 은퇴 이후 생존기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끝으로 권 부연구위원은 향후 시사점에 대해 "향후 인구 고령화가 지속될 경우에는 실질 금리가 현 수준에 비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실질 금리 하락에 주도적 영향을 미치는 기대 수명이 크게 늘지 않는다면 인구 고령화에 따른 실질 금리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sy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